earticle

논문검색

중국 체류 시기 페레올 주교의 행적과 활동

원문정보

Activities and contributions of Mgr. Ferreol in the period of his sojourn in China

조현범

수원교회사연구소 교회사학 제5호 2008.12 pp.47-111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Monseigneur Jean-Joseph-Jean-Baptiste Ferréol(1808~1853), as the third apotolic vicar succeeding to Mgr Bruniére and Mgr. Imbert, devoted himself to the catholic church of Korea for thirteen years. But for some time he could not enter his mission because of the frontier surveillance which became more vigorous since Kihai persecution. He stayed in China, especially in Mantchouria for six years, and undergoing all sorts of hardships and privation succeeded in entrance into Korea. Nevertheless, he lost his most lovely disciple, father Andreas Kim, had to administrate korean catholic church with father Antoine Daveluy despite his disease. Finally he came to breathe his last in the 3 february 1853 after the seven years and four months of missionary activities in Korea, he was 45 years old. Mgr. Ferréol was buried in Mirinae by side of father Andreas Kim's sepulchre. This article deals with Mgr. Ferréol's life and his activities as a missionary, in particular focuses on his preliminary works to prepare the entrance during his staying in Mantchouria. Undoubtedly Mgr. Ferréol was a missionary assigned to the Vicariatus Apostolicus of Choseon, so his main district was the korean catholic church. But Before his entry, he was obliged to live in China and work in connection with chinese catholic organization. Some aspects were related with chinese church in his activities. From this reason we could enlarge the domain of the study of church history in Korea through them. In other words,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situation and the context of korean church in a more broad framework, i.e., the history of East-Asian catholic church. From this viewpoint we treat Mgr. Ferréol's the first half lifetime until his arrival in Macao, his main activities in China. When Mgr. Ferréol arrived in Macao, it was impossible to verify the survival or not of the apostolic vicar and his associate missionaries, that was caused by the interruption of the sino-korean communication. But Mgr.Ferréol, without any hesitation, dared to start the voyage passing through the chinese continent for searching the way to Korea. At that time, among the missions of chinese catholic church it happened some conflicts between the Sacred Congregation of Propagation of Faith in Roman Curia and the Portuguese missionaries. Because the former wanted to restore the rights about controling and supervising the missionaries working in the East-Asian area, especially in China and Korea. But the latter tried to not be deprived their own rights which had been received from the Roman Curia in 15th century. So Portuguese bishops and missionaries would interfere with the apostolic vicars and missionaries sent by the Sacred Congregation in their missionary works, i.e., establishing missionary districts and administrating the faithful life of indigenous christians. After having experienced all sorts of twists and turns from the complicated situations of chinese catholic church, Mgr. Ferréol arrived in the province of Liaouthong that was located on the road to Korea. Although, there remained a considerable influence of Portuguese missionaries. So he was forced to retreat to a secluded christian community to waiting for a favorable occasion. For the space of two years, he accomplished some important affaires. First he got the title of bishop and was consecrated by bishop Verrolles who was a apostolic vicar of the mission of Mantchouria. Second he helped for korean seminaristes to achieve their theological education, and nominated one seminariste to the priest. Third he designed the method of entrance into Korea and explored the active and safe way by ship through the Western-Sea. Finally he could pioneer the marine route with the assistance of father Andreas Kim, and without mishap result in success to arriving at the coast of the Korean Peninsula.

한국어

장 조제프 장 바티스트 페레올(Jean-Joseph-Jean-Baptiste Ferréol, 1808~1853) 주교는 브뤼기에르 주교와 앵베르 주교를 이은 제3대 조선 대목구장으로서 약 13년 동안 조선 천주교회를 위하여 헌신하였다. 하지만 기해박해 이후에 더욱 엄격해진 국경감시 때문에 조선으로 입국하지 못하고 중국, 특히 만주 지역에서 6년 여 동안 체류한 뒤 천신만고 끝에 부임지 조선으로 들어왔다. 그러나 이내 병오박해로 사랑하던 김대건 신부를 잃고 다블뤼 신부와 함께 험난한 사목 활동을 벌이면서 병마에 시달렸다. 결국 조선에 입국하여 7년 4개월가량을 활동한 뒤 1853년 2월 3일 밤 10시에 45세를 일기로 선종하였다. 페레올 주교는 평소에 밝혔던 자신의 소원대로, 자신의 손으로 직접 사제품을 주었고, 자신을 대신하여 선교사들의 조선 입국로를 개척하기 위하여 동분서주하다가 뜻밖의 사태로 체포되어 순교한 김대건 신부의 미리내 묘지 옆에 묻혔다. 이 글은 페레올 주교의 생애와 선교사로서의 활동들 중에서도, 특별히 조선 입국을 준비하던 시기에 중국의 만주 일대를 무대로 펼쳐진 그의 행적과 활동들을 주된 연구 대상으로 다루고자 한다. 페레올 주교는 조선 대목구 선교사였지만 조선 내에서만 활동한 것이 아니라 조선으로 입국하기 이전에는 중국 전교지역의 교회기관들과 연계를 가지면서 활동하였다. 이런 점 때문에 중국교회사와 어느 정도 중첩되는 부분들이 발생할 수밖에 없다. 그러므로 조선 입국을 준비하던 시기에 페레올 주교가 중국에서 벌였던 활동들을 다루게 되면 교회사 연구의 시각을 확대할 수 있다. 이것을 다른 식으로 말하자면 동아시아 천주교회사라는 보다 더 넓은 판도에서 조선교회가 처해있던 상황과 맥락을 파악할 수 있겠다는 것이다. 이러한 문제의식에 기초를 두고서 이 글은 페레올 주교가 마카오에 도착하기까지 그의 전반부 생애, 마카오를 출발하여 조선으로 입국하기까지 그의 행적, 그리고 중국 체류 기간 동안 펼쳤던 그의 주요 행적과 활동들을 다루었다. 페레올 주교가 마카오에 도착하였을 때에는 조선과의 연락 두절로 대목구장과 동료 선교사들의 생존 여부조차도 불투명하였다. 하지만 페레올 주교는 망설이지 않고 중국대륙을 종단하는 험난한 여행을 거쳐서 조선으로 입국하는 길을 찾아갔다. 당시 중국교회에서는 15세기 이후 포르투갈 국왕에게 위임되었던‘선교 보호권’과 교황청 포교성성의 전교지역 직할 방침이 충돌하고 있었다. 그래서 포르투갈 선교사들이 장악하고 있던 북경교구와 남경교구는 포교성성이 파견한 선교사들의 활동을 방해하였다. 이에 대해서 중국 각지에 흩어져 있거나, 또는 신설되고 있던 대목구들(사천 대목구, 산서 대목구, 복건 대목구 등)은 서로 연합하여 북경교구와 남경교구의 재치권이 적용되는 지역을 축소시키고자 노력하였다. 이와 같은 중국교회의 복잡한 사정에서 기인한 온갖 우여곡절들을 겪으면서 페레올 주교는 결국 조선으로 들어가는 길목이었던 요동 지역에 도착하였다. 페레올 주교는 이미 앵베르 주교가 지시한 바도 있으며, 또한 마카오대표부에서도 양해하였던 바대로, 요동 지역에 조선 입국을 위한 전초기지를 건설하고자 하였다. 하지만 당시 요동 지역에는 만주 대목구가 이미 1838년에 설치되었지만 대목구장인 베롤 주교가 아직 부임하지 못한 상황이었다. 게다가 여전히 포르투갈 선교사들, 특히 북경교구장 총대리였던 카스트로 신부의 영향력은 요동 지역에서 상당한 힘을 발휘하고 있었다. 이 때문에 페레올 주교는 요동 지역 교우들로부터 심한 냉대를 받았으며, 본래 의도했던 계획을 실현할 수 없었다. 그리하여 페레올 주교는 프랑스 선교사들에 우호적이었던 길림성의 소팔가자 교우촌으로 물러가서 때가 무르익기를 기다려야만 했다. 2년 남짓의 세월을 보내면서 조선으로 입국할 기회만 바라고 있던 페레올 주교는 제3대 조선 대목구장으로 임명받고 주교로 성성되어 조선 대목구의 재치권을 안정화시킬 수 있었다. 아울러 만주 대목구의 베르뇌 신부를 자신의 부주교로 미리 지명해 놓음으로써 대목구장 유고 사태가 발생하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고자 하였다. 또한 마카오대표부에 신학 수업을 받다가 프랑스 함선을 타고 북상하여 만주에 도착한 조선 신학생들의 신학 교육을 완료하여 성직을 받을 수 있도록 준비시켰다. 동시에 페레올 주교는 김대건 신부로 하여금 압록강 하류의 변문 및 북만주 일대를 답사하는 수차례의 탐험 여행을 다녀오도록 하여 조선으로 들어가는 육로 입국 방안의 가능성을 지속적으로 타진하였다. 그 결과 육로 입국에는 실패하였지만, 김대건 신부의 도움으로 바닷길을 열고 무사히 조선으로 들어올 수 있었다.

목차

Ⅰ. 서론
 Ⅱ. 마카오에 도착하기까지
 Ⅲ. 중국에서의 행적
  1. 마카오에서의 체류
  2. 1838년 이전의 중국 천주교회
  3. 중국대륙 종단길
  4. 만주 체류 시기
  5. 조선으로 가는 여정
 Ⅳ. 조선 입국을 위한 활동
  1. 조선 대목구 재치권의 안정화
  2. 신학생 교육과 성직 수여
  3. 조선 입국로 구상 및 실현
 Ⅴ. 결론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조현범 Cho, Hyeon-beom. 한국교회사연구소책임연구원(The Research Foundation of Korean Church Histor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12,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