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순천만 갈대군락의 면적 증가와 저토의 이화학적 특성

원문정보

Chemical Properties of Sediment and Increase of Reed (Phragmites australis) Stands at Suncheon Bay

이연규, Kim Shin, 이혜원, 민병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o clarify the reed (Phragmites australis) stand's effects on the sediment properties and its increasing pattern, breaths of reed stands in 1999 and 2000, and sediment properties - water, salt, organic matter, sulphur, nitrogen, carbon and hydrogen contents - along th depth at the three stands in 2007 were surveyed at Suncheon Bay. Regardless of reed stand, the more distance from the land was long, the more water and salt contents of sediment were high. Organic matter content of sediment was high and increased with the reed biomass at the upper layer but low regardless of biomass at the lower layer. Sulphur content of sediment was higher at old reed stand (0.33%) than at new stand (0.21%) or non-vegetated stand (0.23%). Carbon, nitrogen and hydrogen contents of sediment were similar at three stands in mean values. However, their contents were high at upper layer and low at lower layer in a stand. Therefore, the changing pattern of organic matter content with the depth was similar to but not coincided to the inorganic nutrients' ones. The mean breadth of reed stands increased 2.33±0.73 m in 1999 and 3.65±1.64 m in 2000. However, the increase of reed stands' breadth a year varied along the direction, year or stands, so that there was not a trend in increasing pattern. It was thought that this increasing pattern made the reed's patch round. The height and density of reed shoot in newly formed stand decreased with the distance from the center of stand. In the newly formed peripheral area of a reed stand, the shoot density was not related with the land (north) or sea (south) direction, however, the shoot height was higher in the sea (south) than in the land (north) direction.

한국어

순천만에서 갈대군락이 저토의 이화학적 특성에 미치는 영향과 갈대군락의 증가형태를 파악하기 위해 1999년과 2000년에 갈대군락의 폭을 측정하고 2007년에 갈대군락의 형성정도에 따라 3개 지역을 선정하여 깊이별 저토의 수분함량, 염분농도, 유기물함량, 황함량, 질소함량, 탄소함량 및 수소함량을 조사하였다. 갈대군락의 유무와 관계없이 육지와 멀리 격리되어 있을수록, 수로와 가까이 있을수록 저토 내 수분함량이 많고 염분도가 높았다. 또한 표층의 유기물함량은 갈대의 현존량과 비례하였지만 하층의 것은 오래된 갈대군락에서 오히려 낮았다. 황함량은 나지(0.23%)나 근래에 형성된 갈대군락(0.21%)보다 오래된 갈대군락(0.33%)에서 높았고, 탄소, 질소 및 수소의 함량은 표층에서 현저히 높고 하층에서 낮아 대체로는 유기물함량과 유사한 경향성을 보였지만 하층으로 감에 따라 감소하거나 증가하는 경향은 일치하지 않았다. 갈대군락 폭의 증가는 1999년에 2.33±0.73 m, 2000년에 3.65±1.64 m이었으며 연도에 따라, 군락에 따라, 방향에 따라 다양하여 일정한 경향성이 없었다. 이러한 갈대군락의 증가 특성에 의해 시간의 경과에 따라 전체적으로 원형의 군락을 이루는 것으로 생각되었다. 매해 증가한 지역에서 갈대의 밀도와 초장은 가장자리로 갈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하나의 군락에서 밀도는 방향(육지 혹은 해양)에 따른 경향성은 없었으나 초장은 북쪽 혹은 육지방향이 남쪽 혹은 해양방향보다 작은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 론
 2. 재료 및 방법
 3. 결과 및 고찰
 참 고 문 헌

저자정보

  • 이연규 Lee Yeon Gyu. 전남대학교 해양과학기술부 교수
  • Kim Shin 김신. 전남대학교 해양과학기술부
  • 이혜원 Lee Hye Won. 단국대학교 과학교육학과
  • 민병미 Min Byeong Mee. 단국대학교 과학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