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The Contemporary Cultural Interchange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Min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Viewed from Choi Bu's Pyohaerok
최부의 [표해록]을 통해 본 15세기 조선과 명조문화 교류의 현장
초록
영어
Pyohaerok written by Choi Bu (1454~1504) is a narrative journal of Choi Bu and his company, which describes a variety of their experiences in China including inspection and journey via Hangzhou, Beijing and Liao-dong after they were overtaken by a storm in the sea off Jeju Island, were on the drift and finally, were cast away on the Chinese coast on the 3rd day of the first intercalary month according to the lunar calendar in the 19th year of the King Seongjong's reign (1488), till they were sent home on the 4th of June in the year. Choi Bu describe vividly what he saw while on the tough and long journey, such as the contemporary Chinese political and social regimes, natural scenery and life style. In the light that the literature addressing the diplomatic relationship and cultural interchange with China in the early Joseon Dynasty period is rare, Choi Bu's Pyohaerok is highly invaluable. In his Pyohaerok, Choi Bu tells many stories after having traveled various places in the southern (called Gangnam) and northern regions (called Gangbuk) of the river in Jung Kwon, China, and it is a rare book written by as a person belonging to the Joseon Dynasty. Despite the fact that he was no more than a castaway, Choi discussed many things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s of the Ming Dynasty with the government officials who were charged with escorting his party and with intelligent people who visited him to inquire about the conditions of other countries. He records in detail the scenery and the lifestyle of the country he was passing through and expands the horizon of his understanding about the history and cultures of China. Moreover, he communicates with the history and figures existing beyond the boundaries of time and space while personally confirming the knowledge and information he has accumulated. Pyohaerok may be called a book about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In that time when exchanges were not freely conducted between the two countries, information and cultures were sweetly shared and communicated between them through Choi. However, the information Chinese people had at this time was merely superficial in comparison with Choi, who freely developed dialogues using his abundant information on the history, cultures, systems, literature, etc. of China. Choi’s information is very deep and practical. Choi keeps toadyish etiquettes towards the Ming Dynasty, but maintains his autonomy since he demonstrates strong responses when what people say and act are against the principles of the Joseon Dynasty or the beliefs of a Confucian. Choi openly exchanges friendship and information on literature in China which was the central stage in the world at that time.Pyohaerok covers a really vast range of what Choi has learned and observed. While making such a long journey of 2,400 km, Choi learns and understands almost every thing about the natural scenery, history, historical remains, mindset of people, and public morals of the Gangnam and Gangbuk regions in China. The present author hopes that the cultural exchanges between the Joseon Dynasty and the Ming Dynasty in the 15th century will be investigated more thoroughly by means of comparing Pyohaerok with Joseonbu written by Dong Wol in the same age.
한국어
최부(崔溥, 1454~1504)의 표해록(漂海錄)ꡕ은 성종 19년(1488) 윤정월 초삼일 제주에서 폭풍을 만나 표류한 최부 일행이 중국 해안에 표착한 이후 조사를 받고 항주-북경-요동을 거쳐 같은 해 6월 4일 조선으로 송환되기까지의 여정을 적은 일기체 기행문이다. 고국으로 돌아오기까지의 고되면서도 기나긴 여정길에서 최부는 자신이 본 중국의 정치․사회 제도, 자연 경관, 사람 사는 모습 등을 생생하게 기록으로 남기고 있다. 조선전기 중국과의 외교 관계 및 문화 교류의 일단을 살필 만한 자료가 영성한 상황에서 최부 표해록의 가치는 매우 높다고 하겠다. 조선인으로서는 드물게 중원의 강남과 강북을 두루 살펴본 최부는 표해록에서 많은 이야기를 들려 주고 있다. 표류민 신분임에도 불구하고 최부는 일행의 호송 임무를 맡고 있는 官人들, 異國에 대한 호기심으로 최부를 방문한 明代 지식인들과 역사 문화에 대한 다양한 의견을 나누고 있으며, 이동 중 자연스레 마주치는 이국의 풍경과 그곳의 생활 풍속 등을 상세히 기록하고 있어 중국의 역사와 문화 전반에 대한 이해의 폭을 넓히고 있다. 아울러 문헌을 통해서만 축적했던 지식과 정보를 직접 현장에서 확인함으로써 時․空間을 초월한 역사, 인물과의 만남도 이뤄지고 있다. 표해록은 일종의 15세기 朝鮮과 明朝 문화 교류서라고 말할 수 있다. 당시 두 나라 간의 교류가 자유롭지 못한 상황 속에서 최부는 중국에 대해, 중국인은 최부를 통해 조선에 대한 정보와 문화를 탐색한다. 그러나 이 시기 중국인들의 조선에 대한 정보는 매우 피상적인 반면 최부는 중국의 역사, 문화, 제도, 문학 등에 대한 정보가 풍부한 상태에서 대화를 나누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최부의 정보 탐문의 수준은 심층적이면서도 실용적이다. 한편 최부는 明에 대한 事大의 예를 지키고 있지만 조선의 國治 이념이나 儒者로서의 신념에 위배되는 경우에 대해서는 강하게 대응하는 등 주체적인 면모를 보이기도 한다. 최부는 세계의 중심 무대인 중국에서 그들과 당당히 문학과 우정과 정보를 교류하고 있다. 표해록은 그 견문한 바가 실로 광범위하다. 6천여 리에 달하는 기나긴 여정 동안 최부는 중국의 자연 풍광과 역사 고적은 물론이고 강남과 강북의 인심과 풍속에 이르기까지 두루 보고 듣지 않은 것이 없다. 이후 동시대에 창작된 동월(董越, 1431~1502)의 조선부(朝鮮賦)와의 비교를 통해 15세기 조선과 명조의 문화 교류가 좀더 입체적으로 조망될 수 있기를 기대해본다.
목차
1. 머리말
2. ‘나’의 세계가 확장되는 공간의 전환
3. 時空을 초월한 역사, 인물과의 만남
4. 筆談을 통한 정보와 문화와 우정의 교류
1) 중국인의 조선에 대한 호기심에서 촉발된 교류
2) 최부의 對明 인식과 심층적 정보 탐색
3) 문학과 우정의 교류
5. 남은 문제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