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윤리교육 지식에서의 ‘한’의 공공소통

원문정보

A Study on the Public Communication of Han in the context of ethical education knowledge

김용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can say the trans-versality of Han() in ethical education knowledge is transformation process through divine communication, cultural communication, spiritual communication. The trans-versality of Han's spirituality and locality is practical co-existence in the context of ethical education knowledge. The Han's mind of Korean is triple phenomenon of trans-versal awareness of heaven-earth-human. It is intermediation of ethical education expansion as Glo-na-cal mind-set. The returning movement of Han mind manifests a triple self-identity in heaven-earth-human, one based on trust of something that is not subject to confirmation except in the language and experience of Han. But in Han's thought this locality of faith is related to a claim for spiritual renewal light. One-for-the-other is real situation for Korean-selves. Human beings suffer privately the passivity of given responsibility. Han's thought has Glo-na-cal ethical value that requires each individual to suffer its own responsibility for co-existence, its own indebtedness to the other through public communication of triple dimension of Han. Despite the environmental crisis and the danger of man-made disasters, however, there is hope and promise for humanity. Surely, our vulnerable human condition raises frightening questions and causes great anxiety and insecurity, but it is undeniable that spiritual communication has engendered a process of human liberation that has fundamentally redefined who we are and what we can become. Hope lies in the heightened awareness of publicity and responsibility to the other to define their faith in light of transform communication. There is also convergence among ethical education knowledges in responding to the crises of the Second Axial-Age: the depletion of resources, environmental degradation, feminist movement, cultural pluralism, annihilation by weapons of mass destruction, crime and disease, just to mention a few.

한국어

전통윤리교육은 생태주의 사고방식의 대두, 여성주의 사회운동, 서구중심의 편견을 바로잡으려는 문화 다원주의 등의 도전을 받아 서구 중심의 합리주의에 대한 새로운 방안을 모색하게 된다. 이제 윤리교육 지식은 맥락존중 보편화용의 정신으로 개신하면서 ‘한’의 통사정 소통방안을 요청하기에 이르렀다. 이처럼 전통윤리교육 지식의 변화와 확충에 의하여 타자를 존중하고 진실과 아량에 근거한 공공소통 방안이 새로운 대안으로 부각된다. 윤리교육 지식에서 횡단매개의 홍익의 개신소통은 21세기의 윤리교육 지식의 다양성과 공공성에 크게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미래의 예측 불가능성, 절대적으로 현재화할 수 없는 시간흐름은 유한자아를 넘어서야 되는 타자의 흔적이 되면서 ‘한’으로 매개하는 가운데 타자의 새로운 발견은 자아 동일시의 개념화를 벗어나 있다. 자아와 타자의 일정거리를 매개하고 연결하는 윤리교육 신지식은 시대적인 화두가 되고 있다. 윤리교육 지식추구에 있어 타인의 외재성을 열망하고 소통하려는 태도에서 타자에로의 초월이 가능해진다. 타자지향의 열망은 자아를 벗어나려는 초월과 연계되며 자아와 타자를 이어주고 살리는 횡단매개 가치를 존중하게 된다. 새로운 윤리교육 지식은 이러한 분리의 거리를 인식하면서 이들 사이를 횡단 매개하는 가운데 대화하고 협력하여 공공소통으로 나아가게 한다. 자기중심의 내면성에서 윤리적 타자에로 개신하는 윤리교육 신지식은 홍익의 개신교육의 정초에서 비롯한다. 개신교육은 타자존재의 발견, 본질 너머로의 대화, 공동의 협력, 존재보다 선한 것으로의 소통으로 이루어진다. 윤리교육 지식의 개신은 타자얼굴과의 소통으로 이루어진다. 이 개신이 󰡔천부경󰡕에에서는 ‘공사공매(公私共媒)’의 공공소통으로, 단군사상에서는 삼명매개의 홍익소통으로 나타난다.

목차

국문초록
 Ⅰ. 머리말
 Ⅱ. 윤리교육 지식의 변화와 확충
  1. 윤리교육 지식의 변화
  2. 윤리교육 지식의 확충
 Ⅲ. 윤리교육 지식의 소통과 매개
  1. 윤리교육 지식의 소통
  2. 윤리교육 지식의 매개
 Ⅳ. 윤리교육 지식에서 ‘한’의 횡단매개
  1. [천부경]의 ‘한’의 매개
  2. 단군사상의 ‘한’의 매개
 Ⅴ. 맺음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용환 Kim, Yong-Hwan. 충북대학교 사범대학 윤리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