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도덕과 논술지도법

원문정보

Nonsul Teaching Method in Ethics

선혜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Ethics, Nonsul teaching method is connected with three fields : moral contents as Nonsul's subject, Nonsul writing technique in Ethics and teaching technique for Nonsul. Consdering these contexts, in teaching Nonsul in Ethics, teacher should know not only Nonsul writing technique but also teaching technique for Nonsul in Ethics. A definition of Nonsul indicates the direction of the knowledge Nonsul-teacher must be acquainted with. Nonsul is defined as the test of logical writing from one's own viewpoint for the answer to the given questions. In this point the most important concept is their's own viewpoints, logical evidence and thinking ability. Therefore It is required that students should build up value viewpoint so that they could have their own viewpoints. However it is more important to learn for students how to use various view points in the world than to build up their own viewpoints. Furthermore Students must learn to logical thought to give evidences for their arguments. Also They have to practice the fundamental thinking as necessary condition for Nonsul writing technique. Now then, I propose fundamentality, diversity, universal direction as three vital elements of thinking ability which could be directly used as finding of given question. These could be useful guidance for the students so that they could solve problems in Nonsul in the objective and creative way by themselves.

한국어

도덕과 논술지도법은 세 가지 영역과 관련된다. 논술의 주제가 되는 도덕의 내용, 도덕과 논술작성기법, 그리고 논술을 지도하는 방법이다. 그런 맥락에서 볼 때, 도덕과 논술에서 교사는 논술작성기법뿐만 아니라 그 기법을 가르치는 지도법도 인지하고 있어야 한다고 할 수 있다. 논술에 대한 정의는 교사가 갖춰야 할 논술 지도에 대한 방향을 제시해준다. 대체로 논술은 주어진 현안문제에 대해 자신의 관점에서 논리적인 근거를 토대로 해결방안을 제시하는 글쓰기라고 정의된다. 여기서 가장 중요한 개념은 자신의 관점과 논리적인 근거, 그리고 사고력이다. 학습자가 자신의 관점을 갖기 위해 도덕과의 가치관정립 교육훈련이 필요하다. 여기서 개인의 확고한 가치관을 정립하는 것보다 다양한 가치관들을 자신의 관점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법을 학습자에게 훈련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리고 학생들은 자신의 주장에 대한 근거를 제시할 수 있도록 논리적 사고의 훈련을 익혀나가야 한다. 또한 균형 잡힌 논술작성을 위한 필요조건으로서 기본적인 사고력 훈련을 쌓아야 한다. 사고력의 세 가지 요소로 필자는 사고의 근본성, 다양성, 보편적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 이런 사고의 요소들이 직접 활용되는 ‘문제발견으로서의 논술지도법’은 학생들이 도덕과 주제로 논술을 작성하는 데 있어서 스스로 객관적, 창의적 방향으로 문제를 해결하도록 하는 데 많은 지침이 되어줄 것이다.

목차

국문 초록
 Ⅰ. 들어가는 말
 Ⅱ. 도덕과(道德科) 논술교육의 목적
 Ⅱ. 도덕과(道德科) 논술교육과 논술기법
  1. 도덕과 논술교육의 필요성
  2. 논술의 정의와 논술기법의 방향
  3. 가치관 정립을 위한 논술기법
 III. 도덕과(道德科) 논술교육과 논술 기법-사례
  1. 가치관 정립을 위한 수업 사례
  2. 논리적 사고의 수업 사례
  3. 문제 발견의 논리 학습으로서 논술교육
 V. 맺음말: 도덕과 논술지도의 의의와 그 방향
 참고 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선혜영 Sun, Hyea-young. 경주 동국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