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생리활성/영양

무모쥐에서 자외선에 의한 피부 장벽 손상에 미치는 커큐민의 보호 효과

원문정보

Beneficial Effect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in Hairless Rat

전희영, 김정기, 김완기, 이상준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ecent research has shown that curcumin has beneficial effects in a variety of skin diseases, includingscleroderma, psoriasis, and skin cancer. In this study, we assessed the effects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function in vivo and in vitro. In order to evaluate the effects of curcumin on epidermal permeability barrier function invivo, hairless rats were exposed to UVB irradiation, and curcumin was administered orally at a dosage of 150mg/kg perday for 8 weeks. Transepidermal water loss (TEWL) and epidermal thickness were measured at the end of the experiment.The expression of filaggrin, a marker of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serine palmitoyltransferase (SPT), a marker of theformation of the stratum corneum lipid barrier, in human HaCat keratinocytes were analyzed. The in vivo results showedthat an 8 week administration of curcumin markedly prevented the UVB-induced increase in TEWL. The UV-inducedincrease in epidermal thickness was also reduced significantly by curcumin treatment. The in vitro results demonstrated theconcentration-dependent effects of curcumin on the expression of both filaggrin and SPT in HaCat cells, reflecting thenotion that curcumin can induce epidermal keratinocyte differentiation and can improve the recovery of skin barrierfunctions. These results show that curcumin is a promising candidate for the improvement of epidermal permeabilitybarrier function.

한국어

In vivo에서 8주간의 UVB 처리에 의해 유발되는 피부 장벽 기능 손상에 대한 커큐민의 보호 효능을 관찰한 결과, UVB에 의해 유도되는 경표피 수분손실량의 증가와 비정상적인 각질 세포의 증식이 커큐민의 섭취에 의해 억제됨을 확인하여 커큐민이 피부 장벽 손상을 방어하고 피부 장벽 기능이 정상적으로 작용할수 있도록 도움을 주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커큐민의 피부 장벽기능 보호 작용 기전을 살펴보기 위하여 각질형성세포주를 이용하여 피부 장벽 조절인자에 대한 커큐민의 작용을 평가한 결과 커큐민은 filaggrin과 SPT의 발현을 농도 의존적으로 증가시킴을확인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커큐민이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분화를 촉진하고 세라마이드 합성에 영향을 미침으로써 피부 장벽 기능을 강화하는 효능이 있음을 추정할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부터 커큐민이 피부 장벽 보호 또는 개선 효능을 갖는 새로운 미용 식품 소재로써 이용 가능성이 높음을 알 수 있다. 다만식품 소재로써 커큐민을 활용하기 위해서는 그간 보고된 커큐민의 낮은 bioavailability에 대한 연구를 참고하여 임상에서 유효한용량을 설정하기 위한 연구가 더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목차

Abstract
 서 론
 재료 및 방법
 결과 및 고찰
 요 약
 문 헌

저자정보

  • 전희영 Hee Young Jeon.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Amorepacific Corporation R&D center)
  • 김정기 Jeong Kee Kim.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Amorepacific Corporation R&D center)
  • 김완기 Wan Gi Kim.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Amorepacific Corporation R&D center)
  • 이상준 Sang Jun Lee. (주)아모레퍼시픽 기술연구원(Amorepacific Corporation R&D center)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