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사이버 가정학습체제에 대한 초중등 교사의 인식실태 비교연구

원문정보

A Comparative Study of Actuality of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Perception on Cyber Home Learning System

정주영, 김향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long with developments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ies, internet has spread not only all over the society, but also our everyday life deeply. Recently, requirements for e-learning using internet in the educational aspect have a great influence on the changes of school educations. Cyber Home Learning System, in particular, has been implemented throughout the nation for the purpose of reducing private expenditure for education and promoting substantial improvements in quality of public education. However, there have been exposed many problems with respect to quality of operations and managements of the system comparing to its quantitative growth, and so, at this point in time, researcher conducted analysis of actuality of perceptions of both elementary and middle school teachers with a focus on the case of S System in K province. To test this, total 278 participants were sampled from the elementary schools (139 teachers) and the middle schools (139 teachers) located in K province and were asked to complete a survey and the results therefrom were analyzed accordingly. Results from the analyses revealed that elementary school teachers responded more positively than other respondents in the most areas, including supply of a variety of learning contents of S System, quality of contents, and providing for helps insomuch as to complement school works, etcetera. In addition, researcher has found out that, to make the system become all the more efficient, it shall be required to establish a strategy in order to induce students’ interest in the system, as well as to construct infrastructure for facilitating the use of computer. And that there are also needs for continuous supports from both the school and the education authority concerned, and for method of flexible operation of curriculum.

한국어

정보통신기술의 발달과 함께 인터넷은 사회 및 생활 전반에 깊숙이 보급되었다. 최근 인터넷을 활용한 e-러닝의 교육적 요구는 학교교육의 변화에 커다란 영향을 끼치고 있다. 특히 사이버가정학습시스템은 사교육 비 절감과 공교육 내실화를 위해 전국적으로 실시되고 있다. 하지만, 양적인 성장에 비해 질적인 운영관리의 측면에서 많은 문제점들이 노출되고 있으며, 이러한 시점에서 K지역 S시스템의 사례를 중심으로 초등교사와 중등교사들의 인식실태를 분석하고자 한다. 본 연구를 위하여 K지역의 초등교사 139명, 중등교사 139명, 총 278명을 대상으로 설문조사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S시스템의 다양한 학습 콘텐츠 제공, 콘텐츠의 질, 학교수업 보충에의 도움 등 대부분의 영역에서 초등교사들이 더 긍정적인 반응을 보이고 있었다. 더욱 더 효과적인 시스템을 위하여 학생들의 관심을 유도하기 위한 전략 및 컴퓨터 활용 인프라 구축, 그리고 학교 및 교육당국의 지속적인 지원과 교육과정의 탄력적 운영방안 등이 필요함을 발견할 수 있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2. 선행연구 분석
  2.1 사이버 가정학습체제
  2.2 사이버 가정학습체제의 운영 및 효과성 연구
 3. 조사 결과
  3.1 다양한 학습 콘텐츠 제공여부에 대한 인식
  3.2 콘텐츠의 질에 대한 인식
  3.3 학교수업 보충 도움에 대한 인식
  3.4 교육복지에 대한 효과 정도 인식
  3.5 학생들의 흥미 정도에 대한 인식도
  3.6 시스템에 대한 전체 만족도 조사
  3.7 사이버선생님에 대한 지원기능에 대한 인식
  3.8 학습자들의 학습 지원기능에 대한 인식
  3.9 시스템 사용의 편의성에 대한 인식
  3.10 학교의 관심도에 대한 인식
  3.11 학생들의 참여의식에 대한 인식
  3.12 교육과정에의 이용정도에 대한 인식
  3.13 교육과정 운영 중 이용에의 애로사항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소개

저자정보

  • 정주영 JuYoung Jung. 부산대학교 교육학과 강사
  • 김향숙 HyangSook Kim. 인제대학교 컴퓨터응용과학부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