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 Balanced Scorecard is known as an integrated performance management framework that helps enterprise to translate strategic objectives into relevant performance measurement within an organization. In recent years, the importance of framework development, implementation and deployment of Balanced Scorecard and Strategic Enterprise Management system have realized its value in public sectors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However, the public domains can be characterized as non-profit organizations involving diverse stakeholders which may provoke obstacles to proper implementation. This paper offers an insight into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systems design and implementation in Ministry of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in Korea. The paper evaluated a number of key guidelines to understand the complexity of strategic performance management design and implementation to be successful in delivering strategic goals in public sector.
한국어
최근 중앙부처 및 지방자치단체 등 공공부문에서 성과관리의 중요성이 강조되면서 BSC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민간부문과 달리 공공부문은 비영리 조직이라는 특성상, 그리고 다양한 이해관계자들이 존재하기 때문에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시 많은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정보통신부의 전략적 성과관리 시스템에 대한 연구를 통해, 업무특성에 맞는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에 대한 선진사례를 도출하여, 공공부문에서 BSC 등의 성과관리 시스템을 구축 시 발생하는 문제점들에 대해 효과적으로 대처하고 벤치마킹 할 수 있는 방안을 제공하는데 있다. 사례대상 공공기관(정보통신부)의 성과관리 연구는 국내 공공부서에 적합한 성과관리 방법론 도입과 시스템 구축에 효과적인 지침서가 될 수 있을 것이며, 현재 공공부문에서 BSC를 구축 할 때 발생하는 여러 문제들에 대하여 효과적인 방안을 제시할 수 있다는 데에 연구의 의의를 둘 수 있다
목차
I. 서론
II. 사례연구 대상 조직 소개
III. 과제 추진 배경 및 과정
IV. 성과관리 시스템 구축
4.1 구축 방법론 - 직무성과 계약제
4.2 BSC와 직무성과계약제 비교
4.3 직무성과 통합관리제도
4.4 성과평가지표의 개발
4.5 인과관계의 설정
4.6 예산 및 보상과의 연계
4.7 조직원 수용성 및 교육
V. BPM 기반의 성과관리 시스템 운영 현황
5.1 GPLCS 개요
5.2 GPLCS 활용 효과
5.3 성과관리 시스템과의 연계
5.4 시스템 구축 단계의 애로사항
VI. 도입효과 및 시사점
VII. 연구의 결론 및 제언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