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보 가치 관점에서 바라본 모바일 광고 가치의 설명 요인에 관한 실증적 연구

원문정보

Empirical Study on Factors Influencing the Value of Mobile Advertising: From the Perspective of Information Value

박철우, 김은진, 안중호, 장정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introduction of the Digital Economy has formed a new market producing and trading information. Depending on the current contexts, each user evaluates identical information differently. It is difficult, even though important, to create and deliver the information customized to individual users by using some factors as time, location, and their personal characteristics. Information value, therefore, could be influenced by the capability of information systems to delivery useful information based on individual contexts to the right user immediately at the right time. From this point of view, we argue mobile systems which are able to be aware of individual contexts and deliver contextual information in real time can improve information value easily than other systems can. This research presents the results of an empirical test about antecedents to mobile advertising value. Though context relevance doesn't influence directly mobile advertising value, it plays an important role enhancing information usefulness which has great influence on mobile advertising value. Moreover, to supply information connected with users' context overcomes the effect of irritation. Lastly, entertainment can improve mobile advertising value as satisfying user's hedonic desire beyond the information source supporting decision making.

한국어

디지털 경제가 도래하면서 정보를 생성 거래하는 새로운 시장이 형성되고 많은 기업들은 고객에게 차별화된 정보를 제공하는 정보 비즈니스를 수행하고 있다. 정보 사용자는 자신이 직면한 정황과 일치하는 정보를 유용하게 인식하지만, 정황은 개인의 역할, 시간, 장소 등에 따라 끊임없이 변하기 때문에 이러한 동적 정보를 생성하고 실시간으로 전달한다는 것은 매우 어려운 일이다. 본 연구는 모바일 시스템이 동적 정황을 인지하여 사용자 요구와 일치하는 정황 정보를 실시간으로 생성 및 전달함으로써 정보 가치의 제고에 기여할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고, 정보 비즈니스 중 그 중요성이 점차 부각되고 있는 모바일 광고를 대상으로 실증 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 결과를 통해 정황 관련성이 모바일 정보 가치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는 않지만 정보 가치를 결정하는 주요 변수인 정보 유용성을 높여줌으로써 사용자의 지각된 모바일 정보 가치를 향상시키는 결정적 역할을 담당한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정황 관련성은 부정적 자극의 영향을 극복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의사 결정을 지원할 수 있는 정보의 제공뿐만 아니라 사용자의 오락적 욕구를 충족시킴으로써 모바일 광고 가치를 향상시킬 수 있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및 연구 가설
  2.1 이론 연구
  2.2 연구 가설 및 모형
 III. 연구 설계
  3.1 연구 변수의 측정
  3.2 자료 수집 및 표본 특성
 IV. 실증 분석
  4.1 신뢰성 및 타당성 분석
  4.2 가설 검증 및 결과
  4.3 토의
 V. 결론
 참고문헌
 부록
 Abstract

저자정보

  • 박철우 Chulwoo Park. 서울대학교 정보통신경영연구센터 연구원
  • 김은진 EunJin Kim.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박사과정
  • 안중호 JoongHo Ahn.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교수
  • 장정주 JungJoo Jahng. 서울대학교 경영대학 경영학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