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동통신 자료 동기화를 이용한 외근 사원 일정관리

원문정보

Schedule Management for Outside Duty Personnels Using Mobile Communication Data Synchronization

장대진, 박기현, 주홍택, 유상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Schedule Management for outside duty personnels and their groups is fairly difficult since they spend most of their time on working outside individually rather than inside office. Everytime when schedule change for personnels or their groups is needed, it is necessary to call every personnel in order to notify the schedule change. It would be much easier to handle the schedule management problem if outside duty personnels are able to download schedule of their groups(and, upload their schedule) using their mobile communication devices such as PDAs. In this paper, using a data synchronization protocol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for outside duty personnels is designed and implemented. Data synchroniz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is a process of maintaining consistency between data stored in mobile devices and data stored in a (central) server at office. In other words, using SyncML data synchronization protocol proposed by OMA(Open Mobile Alliance) as an open standard for data synchronization in mobile communication environments, a schedule management system for outside duty personnels which allows them to check schedule of their groups and to notify their schedule to their groups at anytime anyplace is designed and implemented.

한국어

외근 사원들은 사무실 보다는 밖에서 주로 개인적으로 근무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에, 개인 및 부서 전체의 일정관리가 대단히 어렵다. 개인이나 부서 전체의 일정을 변경할 필요가 있을 때마다, 일일이 모두에게 전화를 해서 이를 알려야 한다. 그런데, 외근 사원들이 가지고 다니는 PDA 등과 같은 이동통신 기기를 이용해서 필요할 때마다 가장 최근의 부서 일정을 다운로드하거나 본인의 일정을 업로드 할 수 있다면, 외근 사원들의 개인 및 부서 전체의 일정관리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다. 본 논문에서는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자료동기화 기법을 이용하여 외근 사원들을 위한 일정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이동통신 환경에서의 자료동기화란 이동통신 단말기에 저장된 자료와 중앙 관리 서버의 자료를 일치시키는 작업을 일컫는다. 즉, OMA(Open Mobile Alliance)에서 표준으로 제안하고 있는 SyncML 자료동기화 방법을 이용하여 언제 어디서나 외근 사원들이 부서 전체의 일정을 점검하고 본인의 일정을 부서 전체에 알릴 수 있는 일정관리 시스템을 설계하고 구현하였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관련 연구
  2.1 SyncML
  2.2 ThinkSync 시스템
 III. ThinkSync 일정관리 솔류션 설계
  3.1 ThinkSync 일정관리 PIMS 정보의 구조
  3.2 ThinkSync 데이터스토어(DataStore : DS) 어댑터 구조
  3.3 일정관리 데이터스토어 어댑터의 내부구조
  3.4 일정관리 PIMS 정보 데이터스토어와 데이터스토어 어댑터의 연동
 IV. 실험 및 검증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대진 Dae Jin Jang. 계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박사과정
  • 박기현 Kee Hyun Park. 계명대학교 컴퓨터공학부 교수
  • 주홍택 Hong Taek Ju. 계명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조교수
  • 유상진 Sang Jin Yoo. 계명대학교 컴퓨터공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1(2004년11월) 휴대형 단말기(Handheld Device)시장 동향 및 전망,
  • 2http://www.wipi.or.kr.,
  • 3(2005년8월) SyncML 기반의 자료 동기화 클라이언트 개발,
  • 4(2005년6월) PDA 및 스마트폰 기술 및 시장 동향,
  • 5http://msdn.mircrosoft.com/library/win- dowsmobile.,
  • 6(Dec.2004) Design of ThinkSync DM based on SyncML Device Management,
  • 7http://www.palmsource.com/palmos/hot- sync.html.,
  • 8(September2002) Data Synchronization in the Mobile Internet,
  • 9(February2000) Enterprise Data Access from Mobile Computers: An End-to-end Story,
  • 10(June2002) On the Scalability of Data Synchronization Protocols for PDAs and Mobile Devices,
  • 11(2000) SyncML White Paper version 1.0,
  • 12(2002) SyncML Representation Protocol Specification version 1.1,
  • 13(2002) SyncML Synchronization Protocol Specification version 1.1,
  • 14(2002) SYNCML: Synchronizing and Managing Your Mobile Data, Prentice Hall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8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