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평화인문학의 이론과 실제 : 교정인문학의 지향과 전망

원문정보

Theory and Practice of Peace-making Human Science : The Goals and Perspective of Correctional Human Science

이명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is a treatise on peace-making human science(PMHS), for the purpose of prisoner education. In this vision, we have to consider matters in all it aspects.
First of all, we change our cognition of prisoner. An established viewpoint, criminal's cause is a total individual irresponsibility. So that we connected criminal behavior as abnormal mentality, unstability, and anger.
But this viewpoint cannot interpret contemporary criminal birth of the ever-increasing white-color criminal, etc. The next, we break from the conventional cognition that a retributor, punishment, mechanism. In spite of indomitable will, criminal behavior is increasing, more and more.
A cognition of PMHS is that man is a good existence, originally, and we think that the criminal, the victim. And our people ought to construct a peaceful community. This is a PMHS educational purpose. And we think that PMHS is an insight of social integration, so that we can possess the ethos of human rights. PMHS call upon prisoner for an social subject, self regulator. and that it is a implementation which connecting peace and civic subject.

한국어

이 논문은 교정인문학의 목표와 가치를 ‘평화인문학’이라는 개념설정을 통해 해명하고자 하는 의도에서 쓰여졌다. 평화인문학의 관점에서 수용자 인문학 교육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다음과 같은 사항에 대한 고민이 필요하다.
먼저 기존의 범죄와 범죄자에 대한 인식변화가 있어야 한다. 기존의 범죄학에서는 범죄의 원인을 한 개인의 전적인 책임으로 돌리고 있다. 동시에 범죄자의 ‘분노조절 기능’을 포함한 심리적 불안정성과 이상성등을 범죄행위와 연결시키는 시각이 일반적이다. 우리는 이러한 이해가 가령 점증하는 화이트칼러 범죄를 포함한 현대 적 범죄의 확대에 대한 충분한 분석이 될 수 없다고 생각한다.
다음으로 범죄의 처벌에 따르는 ‘인과응보’ 식의 관점을 탈피할 필요가 있다. 미국과 한국의 ‘범죄와의 전쟁’을 포함한 강력한 범죄근절의지에도 불구하고, 범죄는 결코 근절되지 않고 있다. 평화주의 인문학의 관점에서 우리는 ‘인간은 선한 존재’라는 관점을 견지하고자 한다. 그래서 우리는 범죄자와 피해자, 형사사법 기관들, 그리고 공동체들이 평화를 구축하는 데 더욱 힘써야 하며, 여기에 평화인문학이 높은 기여를 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또한 우리는 평화주의 인문학을 통해 비폭력과 갈등에 대한 평화적 해결, 그리고 범죄자에 대한 사회적 통합에 인문적 가치가 매우 적극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고 생각한다.
평화주의 인문학은 사회적 공동체에서 배제된 사람들로 하여금 자율적 주체로 거듭나기를 촉구한다. 동시에 교정의 가치를 감시와 처벌이 아닌 평화주의와 시민적 주체화와 연결시키는 시도이기도 하다.
이 논문에서는 이러한 인식 아래 2007년 의정부 교도소에서 필자가 실제로 진행했던 인문학 교육의 실제에 대한 현장보고도 포함되었다.

목차

한글요약
 Ⅰ. 인문학의 목표
 Ⅱ. 평화인문학- 교정인문학의 가치변환
 Ⅲ. 사례발표: 수용자의 시 읽기와 자기표현의 의미
  Ⅲ-1. 자기와 세계에 대한 존중
  Ⅲ-2. 시 읽기와 마음의 공명
  Ⅲ-3. 그들 역시 갇혀 있다
  Ⅲ-4. 교정 인문학의 어려움
 Ⅳ. 가칭 ‘2008년도 수용자를 위한 인문학 과정’의 의미
 Ⅴ. 수용자에 대한 인식의 전환
 ABSTRACT

저자정보

  • 이명원 Lee, Myong-Won. 문학평론가, 서울디지털대 문예창작과(Literary Critic)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