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배양액에 첨가하는 에너지원이 생쥐 배 발생 능력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Energy Substrates in Culture Media on Developmental Capacity of Mouse Embryos

박기상, 이현정, 박성백, 김지철, 이택후, 전상식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effects of energy substrates in different concentration of carbohydrates in the human oviduct and uterus on the in vitro development of mouse 2-cell embryos. Two-cell embryos were collected from ICR female mice at 46~50 hr after 5 IU hCG injection, and cultured in three different media [Control: 0 mM, Group A: glucose (G) 0.5 mM + pyruvate (P) 0.32 mM + lactate (L) 10.5 mM, Group B: G 3.15 mM + P 0.1 mM + L 5.83 mM] for 72 hr. Rates of morula formation of group A (72.3%) and B (56.6%)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than that of control (34.9%) at 24 hr. However, blastocyst rate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ontrol (51.8%) than group A (39.8%) and B (28.9%) at 48 hr. At 72 hr,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number of zona-intact, zona-escape and total blastocysts among groups. Mean and ICM cell numbers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A (78.0, 13.4) and B (64.4, 11.8) than control (53.1, 5.7), respectively. The percent of ICM were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group A (22.9%) and B (23.7%) than control (14.2%). No differences were found in the TE cell numbers (34.1~45.1). The ICM:TE ratio was significantly higher (p<0.05) in control (1:6.0) than group A (1:3.4) and B (1:3.4). This study shows that energy substrates added to culture media especially, the oviductal level of carbohydrates increase the developmental capacity of 2-cell mouse embryos.

한국어

본 연구는 인간 난관액 또는 자궁액 내에 존재하는 에너지원이 생쥐 2-세포기 배의 체외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기 위하여 실시하였다. ICR 암 생쥐에 5 IU hCG 주사 후 46~50시간에 2-세포기 배를 회수하였다. 회수된 배는 3가지 배양 조건 [대조군: 0 mM, Group A: glucose(G) 0.5 mM + pyruvate(P) 0.32 mM + lactate(L) 10.5 mM, Group B: G 3.15 mM + P 0.1 mM + L 5.83 mM]에서 72시간 배양하였다. 배양 24 시간에 상실배 출현율은 group A (72.3%)와 group B (56.6%)가 대조군(34.9%)보다 유의하게 높았다(p<0.05). 그러나 48시간에 배반포기 배 출현율은 대조군(51.8%)이 group A (39.8%)와 group B (28.9%)보다 유의하게 (p<0.05) 높았다. 72시간에 투명대 부착 (ZiB, 41.0~51.8%), 투명대 탈출 (ZeB, 18.1~32.5%) 및 총 배반포기 배 출현율 (68.7~73.5%)은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배반포기 배의 평균 세포수와 ICM 세포수는 group A (70.8, 13.4)와 group B (64.4, 11.8)가 대조군 (53.1, 5.7)보다 유의하게(p<0.05) 많았고, 통계적인 유의차는 없었으나 group A가 group B보다 많은 경향이었다. 총 세포수에 대한 ICM 비율은 group A(22.9%)와 group B(23.7%)가 대조군(14.2%)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영양배엽(TE) 세포수(34.1~45.1)는 실험군 간에 통계적인 차이가 없었다. ICM에 대한 TE 비율(ICM:TE ratio)은 대조군(1:6.0)이 group A(1:3.4)나 group B(1:3.4)보다 유의하게(p<0.05) 높았다. 생쥐 2-세포기 배를 배양하여 72시간까지의 배 발달율을 살펴보면 배양액에 에너지원을 첨가하는 것이 효과적이었으며, 자궁액 농도보다는 난관액 농도로 에너지원을 조절했을 때 배 발생 능력이 높은 경향을 보였다.

목차

ABSTRACT
 요약
 서론
 재료 및 방법
  공시 동물
  배양액 및 염색 용약의 준비
  배반포기 배의 형광 염색
  통계 분석
 결과
  시간의 경과에 따른 배 발달율과 배반포기 배의 세포 수
  배반포기 배의 세포수에서 ICM과 TE 세포의 비율
 고찰
 인용문헌

저자정보

  • 박기상 Kee Sang Park.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 이현정 Hyung Jung Lee. 대구파티마병원 산부인과
  • 박성백 Sung Baek Park. 대구대학교 축산학과
  • 김지철 Ji Chul Kim. 대구대학교 축산학과
  • 이택후 Taek Hoo Lee.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 전상식 Sang Sik Chun. 경북대학교병원 산부인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