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재미 한인노인의 서구문화 적응도와 우울증상 표현방식: 문화와 감정 표현양식에 대한 궁극적 고찰

원문정보

Acculturation and Manifestation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장유리, David A. Chiriboga, 김기연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resent study examined the role of acculturation in manifestation of depressive symptoms among 230 Korean American older adults (Mage=69.8, SD=7.05) in Florida. Given the cultural
emphasis on modesty and self-effacement in the traditional Korean society, we hypothesized that older Korean Americans who were less acculturated to American culture, when compared to the more acculturated ones, would be more likely to inhibit positive affects in depressive symptom reports. Using two validated measures of depressive symptoms, the short forms of the Geriatric Depression Scale (GDS-SF) and the Center for Epidemiologic Studies-Depression Scale (CES-D), different response patterns for low and high acculturation groups were identified. First, there was low comparability in the factor structures for both the GDS-SF and the
CES-D across low and high acculturation groups. A differential item function analysis based on partial correlations indicated that older adults in the low acculturation group inhibited endorsing
positive affect items; one item in the GDS-SF (#7 feel happy) and two items in the CES-D (#5 felt hopeful and #8 was happy). The finding suggests the substantial cultural influences in expressing
emotions, especially those related to positive affects. Implications are discussed from a cultural perspective.

한국어

본 연구는 재미 한인노인을 대상으로 서구문화 적응도가 우울증상 표현방식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한 것이었다. 본 연구의 궁극적 목적은 문화에 따른 감정표현 양식의 차이를 보임으로써 우울증척도의 일률적 사용 및 다양한 민족간의 단순한 점수 비교의 문제점을 시사하는 데 있다. 겸손과 자기 낮춤이 미덕인 전통적 한국문화에서는 행복이나 희망, 만족감과 같은 긍정적 자기감정 표현이 대체적으로 자연스럽지 못한 반면, 서구 문화권에서는 긍정적 자기표현이 적극적으로 장려된다. 본 연구에서는 서구문화 적응도가 낮고 전통적 성향을 지닌 재미 한인노인의 경우, 미국문화에 적응도가 높은 서구적 성향을 가진 한인노인에 비해 우울증척도(GDS-SF와 CES-D)의 긍정적인 문항에 대한 긍정적인 반응빈도가 상대적으로 낮을 것이라고 예측했다. 연구 집단을 서구문화 적응도 고저로 이분한 후 요인분석과 편상관관계분석(partial correlation analysis)을 이용한 차별문항기법(differential item functioning)을 사용하여 GDSSF와 CES-D의 문항들에 대한 응답양식의 집단간 차이를 살펴보았다. 두 집단에서 산출된 GDS-SF와 CES-D의 요인모형들은 매우 낮은 일치도(congruence coefficient)를 보였으며, 보편적 우울상태를 통제시킬 경우 서구문화 적응도가 낮은 전통적인 집단이 우울증척도 내 긍정적인 문항들에 대한 긍정적 반응이 상대적으로 드문 것으로 나타났다.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문항은 GDS-SF의 ‘대체로
행복하십니까’와 CES-D의 ‘장래에 대해 희망적이다,’ ‘나는 행복하다’이었다. 이는 우울증상 표현방식에 개인의 문화적 성향이 미치는 영향이 크다는 사실을 입증한 것이었으며, 특히 전형적인 한국노인
의 경우 실제 우울정도나 심리상태에 상관없이 행복이나 희망과 같은 긍정적 감정표현에 익숙하지 못함을 의미한다. 따라서 개인이나 집단의 문화적 성향을 고려하지 않은 상태로 척도를 보편․일률적으로 적용하거나 또는 타 집단간의 점수를 단순히 비교하는 것은 바람직하지 않음을 시사했다.
[Key words:

목차

요약
 서론
 연구방법
  연구대상자 및 자료수집
  측정도구
  분석방법
 결과
  조사대상자의 특성
  연구변수에 대한 다각적 분석
  서구문화 적응도가 높은 집단과 낮은 집단간의 비교
 논의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유리 Yuri Jang. University of South Florida Dept. of Aging & Mental Health
  • David A. Chiriboga University of South Florida Dept. of Aging & Mental Health
  • 김기연 Giyeon Kim. University of South Florida School of Aging Studies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