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사회사업가의 간접 외상후 스트레스 개입방안: 사회사업 실천과 연구에 대한 함의
초록
영어
Secondary traumatic stress is a less familiar term in the field of social work in Korea. Secondary trau-matic stress is indirect trauma effects that could happen to helping professions as they are exposed to their clients' trauma experiences. The practitioners may experience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like symptoms or cognitive schema disturbances as they empathically engage in the helping process with their clients. This article focuses on the secondary traumatic stress of social workers who work with survivors of family violence or sexual assault. The main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amine secondary traumatic stress inter-ventions for social workers through scholarly literature review and to suggest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implications. To have good understandings about secondary traumatic stress, related concepts and terms, etiology, and symptoms of secondary traumatic stress are first discussed. Then, discussions on cop-ing and intervention strategies to prevent or cope with secondary traumatic stress follow. Finally, im-plications for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 and future research directions are suggested.
한국어
가정폭력, 아동학대, 노인학대, 성폭력 등으로 인해 외상 (trauma) 을 입은 클라이언트를 돕는 과정에서 사회사업가는 그의 클라이언트가 겪는 외상과 유사한 간접 또는 2차 외상후 스트레스 (Secondary traumatic stress: STS)를 겪을 수 있다. 클라이언트에게 어떤 정신적 충격이 있었는지에 대해 클라이언트의 이야기를 듣고 고통을 이해하고 공감하는 과정에서 치료자는 외상후 스트레스 증후군 (Posttraumatic stress disorder) 과 유사한 증상들이나 기존의 인지체계에 변화가 오는 증세를 경험할 수도 있다. 간접 외상후 스트레스 (STS)는 클라이언트를 돕는 과정에서 사회사업가가 정신적, 감정적인 영향을 받는 현상이라는 점에서는 소진이나 전이와 비슷하지만 트로마(trauma) 를 겪은 사람들을 돕는 치료자에게서만 발견되는 독특한 현상이다. 사회사업가는 트로마(trauma)로 인해 고통에 처한 클라이언트에게 직.간접적으로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사람으로, 클라이언트에게 효과적이고 효율적인 도움을 제공하려면 사회사업가의 정신적, 신체적 건강 또한 중요하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문헌고찰을 통해 사회사업가들이 간접 외상후 스트레스 (STS) 를 예방하고 치유할 수 있는 자기 관리 (self-care) 법과 사회사업적 개입방안 연구들을 소개하였다. 아울러, 본 연구는 소개된 개입방안이 갖는 사회사업 실천에서의 함의와 효과적인 검증을 위한 앞으로의 사회사업 연구방향을 제시하였다. 특히, 소개된 개입방안을 한국에서 적용시 고려해야할 점과 한국 사회사업 현장의 사회사업가들의 간접 외상후 스트레스에 관한 연구의 방향성에 대해서도 제안하였다. 가장 우선적으로, 학계와 현장에서는 간접 외상후 스트레스 (STS) 를 일컬을 적절한 번역어를 제시해야 할 것이다. 개입방안 논의에 앞서 독자들의 이해를 돕기 위해 간접 외상후 스트레스 (STS) 에 대한 개념정의, 발달과정, 증세, 그리고 이와 유사한 현상들에 대해 먼저 살펴보았다.
목차
1. Introduction
2. Concepts and Symptoms
1) STS, a unique form of stress to workers in trauma fields
2) Development and symptoms of STS
3. Social Work Intervention Strategies
1) Coping strategies
2) Interventions
4. Discussion: Social work practice and researchimplications
국문초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