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Adjustments of Korea-born Immigrant Elderly in the United States

원문정보

미국에 거주하는 한국노인들의 적응에 관한 연구

Yongjin Son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A sample of 9 Korea-born elderly people (2 men & 7 women) living in New England, aged 69 to 81, was interviewed through telephone to investigate the extent of their adjustment to immigration life. A questionnaire was developed to assess mental/physical health status, acculturation level, intergenerational interaction, life satisfaction, and factors linked to immigration life stressors. Due to a small sample size, any types of statistical analyses were not conducted. All respondents rated their health as somewhat worse compared with a year ago, while a majority of them did not show any problems in emotional health. A grasp of English was found to be the least acculturated area. Most respondents rated their financial satisfaction as even. No matter
how long they resided in the U.S. or what SES they were located in, the Korean American elderly sampled still followed Korean customs. Marginalized from their families and American society
in general, the interviewees not only expressed their wish to be independent from their adult children financially, but also help them as much as they could. Those whose primary source of
income was the Supplementary Security Income rated financial difficulties as their paramount concern for their future living conditions. This paper argues that U.S. welfare policy needs to
reflect acculturation status of the minority elderly who still maintain a strong attachment to their ethnic heritage.

한국어

이 연구는 예비 연구로 미국 뉴 앵글랜드 지역에 거주하는 9명의 한국노인들을 대상으로 하여 6가지 영역의 이민생활 적응을 조사했다. 한국계 미국노인들을 위한 표준화된 설문지가 없어 본 연구자가 기존
의 참고 문헌을 통해 건강상태, 문화동화 수준, 이민생활에 관련된 생활 스트레스 등을 묻는 설문지를 작성했다. 표본 수가 작아서 통계적분석은 시도되지 않았지만, 대부분 정신건강의 문제는 없지만, 신체건강이 1년 전에 비해 더 나빠졌다고 응답했다. 영어의 이해가 제일 어려운 문화동화 영역이었으며, 경제적 만족수준은 대부분 중간정도로 대답했다. 미국의 거주 햇수나 사회경제적 지위에 상관없이, 응답자들은 여전히 한국의 문화관습을 따르고 있었고, 경제적으로 자녀로부터 독립하기를 원했으며, 동시에 성인자녀들을 돕고 싶다고 했다. 수입이 전적으로 저소득층 보조수입에 의존하고 있는 노인들은 미래의 경제상황이 매우 나빠질 것이라고 답했다. 본고는 미국의 소수 인종을 위한 복지정책이 소수인종노인들의 사회 문화적 동화수준을 감안한 정책이 수립되어야 함을 제안하고 있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 참가한 사람들이 자신의 감정과 느낌을 수량화하는데 어려움을 보였는데, 이러한 점으로 미루어 보아서 앞으로의 연구는 양적 및 질적 연구방법의 동시 사용이 훨씬 효과적일 것이다.

목차

Abstract
 Rationale for Study
 Korean Elderly Profiles
 Literature Review
 Method
 Findings
 Discussion
 References
 요약

저자정보

  • Yongjin Son 손용진. Department of Social Welfare, Mokpo Catholic University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1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