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묵자사상(墨子思想)에 나타난 정치사회의식의 현대적 함의

원문정보

Significances of the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in motzu's Thought

김정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paper aims at analyzing the contents of the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in Motzu's thought, and presenting its modern significances. Even though Motzu's thought has some feudal characteristics, it also contains the meaningful contents of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applicable to modern Korean society. Concretely, this paper firstly explains the political consciousness in Motzu's thought such as strong rejection toward political discrimination, emphasis of political communication among subjects, and maintenance of political responsibility and practice. And then, this paper discusses the social consciousness in Motzu's thought centering around the consciousness of temperance and frugality, and the concept of ‘loving each other(兼愛).’ In conclusion, the author points out that the socio-political consciousness in Motzu's thought can be a useful alternative consciousness for Korean society which has some serious problems such as strong distrust toward politics and politicians, wide-spread social discriminative consciousness notwithstanding the lawful equality, over-consumption and vanity, and conflicts among individuals.

한국어

이 논문은 중국 고대 묵자사상(墨子思想)에 나타난 정치사회의식의 내용을 분석하고 그것의 현대적 함의를 밝히려는 것이다. 묵자사상은 시대적 한계로 인한 봉건적 특성을 지니고 있었으나 동시에 현대에 적용될 수 있는 의미 있는 정치사회의식의 내용을 담고 있었다. 구체적으로 이 논문에서는 묵자사상에 나타난 정치의식의 내용으로 첫째, 정치적 차별에 대한 강한 부정과 개방적 인재활용의 강조, 둘째, 정치적 소통(여론정치)의 필요성 주장, 셋째, 정치적 책임과 실천의 중요성 역설 등을 제시했다. 정치적 개방성과 책임성, 그리고 실천성 등이 법적ㆍ제도적 토대가 완성되었음에도 불구하고 각종 의식적 차별, 정치권과 국민들 사이의 괴리감, 정치지도자를 포함한 정치인에 대한 불신이 여전히 강한 한국사회의 문제를 되돌아보게 하고 그것을 극복할 수 있는 유용한 의식적ㆍ실천적 대안이 될 수 있음을 지적했다. 다음으로 사회의식과 관련해서는 절제와 절용의식 및 겸애의식을 설명했다. 사회적 공익을 위해 절제하고 필요 없는 낭비적 요소를 제거해야 한다는 절제ㆍ절용의식은 일면 현대 자본주의 사회와 양립할 수 없는 의식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과소비와 허례허식(虛禮虛飾)이 여전히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한국의 현실에서 의미를 부여할 수 있는 가치구조라는 점을 지적했다. 그리고 사회구성원간 서로 사랑하고, 서로에게 이익을 줄 것을 요구하는 겸애의식은 그것이 단순히 개인의 행동에 대한 사회적 보답의 차원이 아니라 ‘사회구성원 상호간의 가치를 서로 존중하는’ 나아가 ‘내가 먼저 실천해야 한다는’ 의식과 태도를 지향했다는 점에서 매우 큰 현재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고 평가했다.

목차

국문요약
 I. 들어가는 말
 II. 묵자적 이상사회의 모습과 봉건적 한계
 III. 묵자사상에 나타난 정치사회의식의 내용과 현대적 함의
  1. 정치의식
  2. 사회의식
 IV. 맺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정호 Kim, Jung Ho. 인하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