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简论丁若镛镛的民本思想

원문정보

A Simple Comment on the People-based Thought of Jung Yag Yong

간론정약강강적민본사상

朴鸿硕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Jung Yag Yong is one of the enlighten ideologists of the practical ideology which brought new custom to the society at the end of Lee Dynasty of Korea.
He had a large amount of treaties. His unique achievement had a high culture value in Korean ideological history. In 60’s of the 20th century, the research forerunners of the real learning ideology commented that of Jung’s thought is a sprout state of Utopian Socialism. And from that time Korean academic circles realized the importance of Jung’s thought. They developed a deeply and unremitting study on his classical learning ideology, real learning ideology and
economic ideology etc. At present, many professional journals, websites and associations still study on Jung’s thought. In this paper, a diachronic research was done to Jung’s though starting with his people bases ideology.

한국어

다산(茶山) 정약용(丁若鏞, 1762-1836년)은 조선말기에 경세실학이라는 새로운 학풍을 부흥시킨 한국 봉건사회 말기의 대표적인 조기 계몽사상가이다. 그는 자신의 방대한 저서와 사상을 통해, 한국 사상사에 한 획을 긋는 위대한 업적을 남겼다. 다산의 대표작이라 할 수 있는 일표이서(經世遺表, 牧民心書, 欽欽新書)는 민(民)을 가장 우선적으로 생각하는 그의 간절한 마음에서 출발하고 있으며, 특히 목민심서(牧民心書)는 민(民)과 가장 가까운 곳에 있기 때문에, 직접적으로 민(民)에게 피해를 줄 가능성이 가장 높은 목민관들이 반드시 지켜야 할 행동 가짐과 마음 자세 등을 세세하게 설명하고 있다.
본 문은 다산의 민본사상(民本思想)을 중심으로 그의 사상에 대해 횡적인 고찰을 시도한 것이다. 민본사상은 고대이래 한국의 정치사상 중 가장 중요한 사상 부류로 인식되고 있으며, 다산은 조선시대 민본사상을 집대성한 대학자로 우리에게 잘 알려져 있다. 그는 조선시대 후기라는 험난한 시대적 격동기를 경험했으며, 이러한 시대적 배경은 다산이 독특한 경세치용(經世致用) 학문의 틀을 형성하는데 커다란 촉진제로 작용했다. 다산의 민본사상에 대한 고찰을 통해, 우리는 봉건사회의 정치사상이 근대로 진입하는 경로를 정확히 이해할 수 있다. 또한, 민본사상과 관련한 그의 주장은 오늘날 역시 공무원이 기본적으로 지켜야 할 마음가짐과 행동강령으로 널리 인정 받고 있다.
본 문의 결론에 따르면 다산의 민본사상은 경세치용(經世致用)을 중심으로 하는 독특한 민본사상임과 동시에, 군권(君權)을 지지하는 군권옹호형 민본사상이라 할 수 있다. 다산은 왕조가 교체되는 격렬한 투쟁을 경험하지 않았기 때문에, 지방관리의 청렴결백을 강하게 주장한 반면, 군주를 바라보는 시각은 매우 온건한 특징을 나타내고 있다. 때문에, 또 다른 각도에서 볼 때 다산의 목민사상은 왕권의 진일보 강화를 위한 설계라고도 할 수 있다.
다산은 한국의 대학자로 후세의 높은 인정을 받고 있으며, 용감하게 현실을 직시하는자세와 민족에 대한 투철한 책임감은 전형적인 경세치용의 특징을 표현하고 있다. 또한, 그의 봉건 전제제도에 대한 비판은 조선말기의 시대적 요구를 반영하고 있으며, 계몽사상, 사상해방의 특징을 지니고 있다는데 그 의의가 있다.

목차

한글요약문
 一、生平与民本思想的哲学基础
 二、民本思想的主要内容
  1、富民思想
  2、牧民思想
  3、教民思想
  4、闲民思想
 三、结论
 Abstract

저자정보

  • 朴鸿硕 박홍석. 中国清华大学人文社会科学学院博士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