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논문: 민족과 공간

상징공간의 변용과 집합기억의 발명:서울의 식민지 경험과 민족적 장소성의 재구성

원문정보

Modification of Symbolic Spaces and Invention of Collective Memories: How the national places in Seoul were reconstructedthrough the colonial experiences?

김백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demolition of the former headquarter building of Chosen Governor-General in 1995 and the opening of Sodaemun Prison History Hall in 1998 show the existing influence of the collective memories of Japanese colonial domination on the politics of urban space in contemporary Seoul. One can find out some aspects of the efface-ment and revival of the collective memories in relation to the destruction and restora-tion of the symbolic spaces based on strong nationalistic emotions in post-colonial Korean society. Criticising Korean popular version of the theory of geomantic injury by Japanese imperialism, this paper analyses following three main aspects of the restructuring plan of colonial Seoul(Keijo) of Japanese imperialism.Firstly, Japanese strategies of colonial urbanization can be analysed into two mo-ments: transplantation of the prototype and destruction of the native traditions. Japanese prototype of modern urbanism, including such Japanese original cultural elements as the shrine and the licensed prostitute quarters, is originated from the spatial systems of traditional Joukamachi developed by Bakuhu regime in early mod-ern Japan. Secondly, the investigation of the process of the building of the two representative symbolic architectures of Japanese colonial power in Keijo, the headquarter building of Governor-General in Kyungbokkung palace site completed in 1926 and the Chosen Shrine built in the Mt. Namsan area in 1925, reveals Chosen Government-General’s strategies of the construction/destruction of the symbolic space in colonial Seoul, which can be summarized as an Haussmanizing project, putting emphasis on the visual effects of both the prospects of the location of the buildings and the aspects of the architectural forms. Thirdly, the attitudes of the Japanese colonial power towards the traditional archi-tectures of Chosen Dynasty can be characterized as apparent ambiguity, consisting of two contrasting aspects: overall neglect of the value as cultural properties on one hand, and careful considerations on specific objects in particular moments on the other. As results, it can be said that the politics of urban space of the Japanese colonial power proceeded mainly with the lack of fundamental principles, according to circumstances.The fact that the social spread of the misled popular version of the theory of geomantic injury in post-colonial Korean society can be interpreted as a symptom which reveals the overwhelming influence of Korean people’s collective emotions of revenge upon Japanese people in the formation of post-colonial Korean nationalism. It cannot be overemphasized to pay attention to the phenomena of recent rediscovery or invention of national placeness in Korean society, in relation to the social dynamics of the politics of colonial memories and the historical trans-formation of Korean nationalism.

한국어

1995년 구(舊) 조선총독부 건물의 철거와 1998년 서대문형무소 역사관의 개관은 일제 식민통치의 기억이 오늘날 서울의 공간정치에도 여전히 영향력을 미치고 있음을 보여준다. 이들 사례에서 우리는 해방 이후 한국의 강력한 민족주의적 정서에 토대를 둔 상징공간의 파괴와 복원에 따른 집합기억의 말소 및 재생의 양상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은 일제하 서울의 도시공간 재편 양상을 세 가지 연구문제를 중심으로 구체적으로 분석함으로써 집합적 피해의식에 근거해 일제가 남긴 공간적 유산을 해석하는 유력한 통념적 속설인 일제 단맥설의 허와 실을 규명해냈다.우선 일제의 식민도시화 전략은 원형의 이식과 전통의 파괴라는 두 가지 차원으로 분석적으로 구분된다. 그들이 식민지에 이식한 독특한 일본적 근대도시의 공간적 원형은 바쿠후 시대 조카마치의 공간질서에 뿌리를 둔 것으로, 신사와 유곽 등 일본 고유의 문화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둘째, 식민화 초기 경성에서 그들이 정력적으로 추진한 기념비적 양대 상징건축은 경복궁의 조선총독부 신청사와 남산의 조선신궁으로 대표되는데, 그 건설전략은 탁 트인 전망과 압도적인 외관 등 시각효과를 가장 중요한 변수로 고려하는 경성부의 오스망화 전략으로 요약된다. 마지막으로 조선왕조의 상징건축에 대한 식민권력의 태도는 ‘고건축’으로서의 문화재적 가치에 대한 전반적인 무시와 특정 상징공간의 정치적 중요성에 대한 세심한 고려라는 양면성으로 특징지어진다. 그 결과 그들의 공간정치는 임기응변의 무원칙적이고 편의주의적인 방식으로 전개되었다.전반적으로 피식민 대중의 민족적 반감을 회피하고자 했던 식민권력의 공간정치의 실상이 풍수적 단맥설과 같은 악의적이고 치밀한 민족말살과 공간파괴의 전략으로 대중적으로 왜곡되어 인지된 것은 해방 이후 한국 민족주의가 걸어온 집합적 복수의 정서를 반영한다. 최근 진행되어온 민족적 장소성의 재발견은 공간의 탈식민화를 둘러싼 기억의 정치와 긴밀히 연관된 것으로 일제 단맥설 같은 대중정서의 형성 과정에 대한 심도 깊은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목차

초록
 1. 서론: 공간의 파괴와 복원, 기억의 말소와 재생
 2. 일제 단맥설의 허구와 진실
 3. 원형의 이식과 전통의 파괴
  1) 조카마치(城下町)와 일본형 근대도시 모델의 형성
  2) 일본형 식민지 도시의 원형 분석
 4. 기념비적 상징건축의 건설전략: 지배권력과 시각효과
  1) 조선총독부 신청사의 입지 선정과 건설 과정
  2) 조선신궁의 입지 선정 문제
  3) 경성부 신청사 건설과 도심부 경관 정비
 5. 식민지배와 공간정치: 선택과 배제의 논리
  1) 전통왕조 상징공간의 파괴와 변용
  2) 근대주의적 실천의 식민주의적 효과
 6. 결론: 집합기억의 탈식민화와 민족적 장소성의 발명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백영 Kim, Baek-Yung.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선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