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에 관한 연구: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동기, 과정 및 결과를 중심으로

원문정보

A Study of Place Marketing on Making A Sports Event Space:Case Study of Namhae County Sports Park

지정훈, 허근영, 하철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xamines the possibility of place marketing through making a sports event space in the example of ‘Namhae Sports Park’. The Namhae Sports Park is an exemplary case of place marketing, especially to local cities and counties that are trying various efforts in marketing their places. Recently, sports marketing be-comes popular in Korea cities since Incheon and Daegu have succeeded in place marketing with hosting major international sports event. Place marketing is generally referred a city’s strategy to attract tourists, compa-nies, and residents by digging and developing the city’s identity or specialties and advertizing them. Place marketing is classified into several categories by the degree of space planning and its major target. Existent local human capital, new local image slogan and place brand, local cultural event, new local landscape, new local land use, new local industry and sports event are effective sources for place marketing, although some are overlapping in their outcomes. This study adopt Lee(2006a, 2006b)’s place marketing classification and author’s space planning framework to analyze Namhae sports marketing process.Namhae sports marketing, characterizing regional economy-seeking and space planning-centered, has been successful so far with its (1) place strategy that includes the school lawn soccer ground project, Seo-Sang land reclamation lawn ground, the rape flower festival, and the Namhae Sports Park project, and (2) marketing strategy that comprises hosting the 2002 Worldcup camp and other sports events. Namhae county’s place marketing ultimately triggers regional economic vitality and residents’ income growth. Local leaders have played an important role in the success of Namhae sports marketing because they build a long-term comprehensive space planning for this project, persuaded local residents, and went through all difficulties in carrying out the project. Namhae’s space marketing is an excellent example of place market-ing in terms of local people’s active participation and cooperation with the local government, and eventual people’s prosperity beyond place’s prosperity.

한국어

장소마케팅이란 일반적으로는 한 장소, 즉 도시나 지역이 가진 차별성을 찾아내거나 새롭게 개발해 이를 기반으로 그 지역을 광고함으로써 궁극적으로는 관광객 및 기업을 유치하기 위한 전략이다. 장소마케팅은 추구하는 목표와 공간적 계획에 따른 구분이 가능하다. 이와 함께 장소마케팅은 일반적으로 두 가지 과정, 즉 장소의 전략과 마케팅 전략을 가지고 진행된다. 이 연구의 목적은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구체적인 공간적 사례를 통해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의 가능성을 보여주는 것이다. 많은 도시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장소마케팅을 해나가고 있는 상황에서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을 통한 장소마케팅은 무엇보다도 지방도시들에 좋은 사례가 될 것이다. 특히 최근에 대구광역시가 세계육상선수권대회를, 인천광역시가 아시안게임을 유치하는 데 성공하는 등 여러 도시가 스포츠 관련 행사를 유치하려고 노력하고 있는 상황에서 남해군의 사례는 지역을 살리고 외부에 알리는 효과적인 방법을 제시해준다. 남해군 스포츠파크라는 장소마케팅을 분석하기 위한 분석의 틀로는 이무용(2006a, 2006b)이 사용한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분류와 전략 수립 과정 분류, 그리고 연구자가 주장하는 공간계획의 정도에 따른 장소마케팅 전략 구분방법을 이용했다.남해군 스포츠마케팅은 지역경제 추구형(경제적 장소마케팅)이자 공간계획 중심적 장소마케팅으로 구분된다. 장소 전략 과정에서는 잔디운동장 시범사업, 서상매립지 잔디포 조성 및 유채꽃 축제, 그리고 남해군 스포츠파크 조성 사업을 실시했으며,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는 스포츠마케팅을 통한 호텔, 정부지원, 월드컵유치캠프 및 각종 스포츠 경기 유치를 성공적으로 수행해 지역경제의 활성화와 지역주민의 소득증대를 가져왔다. 이러한 성공 뒤에는 비록 스포츠마케팅임에도 불구하고 장기적이고 종합적인 공간계획을 가지고 주민들을 설득해 지역을 변화시킨 리더십이 있었다는 점을 간과할 수 없다. 이와 함께 주민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민관의 협력을 통해 지역문화 및 정체성 확립에도 영향을 주었으며, 개발이익의 재분배를 통해 단순한 장소의 번영(place’s prosperity)을 넘어 주민의 번영(people’s prosperity)을 가져왔다는 점에서 장소마케팅의 모범적인 예로 제시될 수 있다.

목차

초록
 1. 머리말
 2. 문헌연구
  1) 장소마케팅의 정의와 특징
  2) 장소마케팅의 종류 및 사례
 3. 연구 분석틀
  1) 장소마케팅 전략의 유형 분류
  2) 장소마케팅 전략 수립 과정
 4. 장소마케팅으로써의 남해군 스포츠 이벤트 공간
  1) 장소 전략 과정에서의 공간계획중심형장소마케팅
  2) 마케팅 전략 과정에서의 지역경제추구형장소마케팅
  3) 남해군 스포츠 이벤트 공간조성의 평가
 5. 결론 및 정책적 시사점
  1) 요약 및 결론
  2) 정책적 시사점
 Abstract
 참고문헌

저자정보

  • 지정훈 Ki, Jung-Hoon. 명지대학교 행정학과 교수
  • 허근영 Huh, Keun-Young. 진주산업대학교 조경학과 교수
  • 하철수 Ha, Cheol-Soo. 남해군 산림조합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