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Fresh tea leaves grown in Jeju Island and Jeonnam Province of South Korea were plucked and processed. Volatile compounds (VCs) were analyzed and identified with SPME-GC/GC-MS/GC-O. The VCs of green teas were classified into two major categories based on their aroma characteristics: the Greenish (Group I), and Floral (Group II) odorants. It was found that the VCs were decreased significantly in fresh tea leaves as they were plucked at the later stages of cultivation. The ratio of VCs responsible for Group I and Group II compounds was well-balanced in tea leaves plucked in May, but the balances were changed when the fresh leaves were processed. The major VCs of fresh tea leaves in Jeju and Jeonnam were n-hexanal, E-2-hexenal, Z-3-hexenal, myrcene, benzyl alcohol, linalool, and phenyl alcohol. Also, Jeju and Jeonnam tea leaves had different aroma composition. n-Heptanol, β-pinen, benzaldehyde, and ethyl salicylate were found in Jeju fresh tea leaves, and Z-3-hexenol, E-2-hexenol, and methyl n-heptanoate were detected in Jeju dry tea leaves. On the other hand, Z-linalool oxide and myrcene were found in Jeonnam dry tea leaves. The SPME-GC method showed high reproducibility (RSD, 7.4%) with no-artifact formation. In this study, optimum plucking period of tea leaves could be determined for production of high quality green tea with a well-balanced aroma and characteristic VCs in green tea according to growing area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녹차엽의 채취 시기와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종류, 차이, 그리고 변화를 비교하기 위하여 제주와 전남지역에서 재배한 차의 생엽을 시기별로 채취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 향기 성분은 SPME를 사용하여 포집, 흡착하여 GC, GC-MS, GC-O, 그리고 retention time을 이용하여 분리된 성분을 분석, 동정하였다. 녹차엽의 휘발성분의 양은 수분함량을 고려한 건조함량을 기준으로 정량하였다. 수분함량은 생엽이 78-80%, 건조엽이 3.20-4.98% 정도였다. 휘발성 향기성분의 흡착에 사용되는 SPME 방법은 이전의 여러 방법에 비해 분석시간이 짧고 본래의 향이 아닌 방해성분의 생성이 적은 장점이 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PME fiber는 7.4%의 높은 재현성을 가졌으며 표준물질(ethyl n-heptanoate)의 내부표준법에 의한 재현성 결과에서는 불안정한 peak area값(RSD 30.5-98.7%)을 가져 3.47%의 재현성 결과를 가진 외부표준법을 사용하였다. 시기에 따른 휘발성 향기 성분을 비교한 결과, 5월에 채취한 생엽의 휘발량이 가장 많았으며, Group I과 Group II 향기특성의 함량비율이 균형적이었다. 휘발량이 가장 많았던 5월에 채취한 생엽을 제주와 전남의 재배지역으로 구분하여 비교한 결과, 주 성분은 Z-3-hexenal, linalool, E-2-hexenol, n-hexanal, Z-linalool oxide, myrcene, benzyl alcohol이었다. 이러한 결과는 채엽 시기가 녹차의 향기 특성에 영향을 주며, 채엽 시기가 같더라도 지역에 따라 향기가 다른 녹차가 제조될 수 있다는 것을 나타낸다. 본 연구는 녹차를 지역에 따라 구분하는 데에도 도움이 될 것으로 예상된다./TEX>, 3가지약제에 저항성인 규의 분포는 & 28.5~89.7%$, 4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의 분포는 2.6%, 5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2.6~2106%, 6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0.9~24.1%이었으며, 7가지 약제에 저항성인 균은 0.9~2.6%이었으며, 8종류 약제에 저항성인 균도 1.7%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국내에서 분리된 M. pneumoniae 균주는 적게는 1-4 종류의 항생제에, 많게는 5-8 종류의 항생제에 저항성인 균주가 있으므로 마이코플라스마폐렴 환자를 치료할때는 macrolide계나 quinolone계의 항생제 선택에 신중을 기하여야 하며, 가급적이면 항생제 감수성 검사를 실시하여 적절한 항생제를 선택함으로써 저항성균의 출현율을 줄일 수 있고 효율적인 치료도 할 수 있도록 하여야 할 것으로 생각된다.이어트에도 도움이 되리라 생각한다. 56.3%, 엽산 81.3% 등으로 높게 나타나 근로자들의 영양 문제가 심각함을 알 수 있다.혁신지방분권위원회에서 제시한 자치경찰제도(안)을 중심으로 자치경찰제도 운용의 목적 충족과 실질적인 효과의 측면에서 분석하고 바람직한 자치경찰제도의 운용에 대해 살펴본다.rc}C$ 이내에서 높을수록, 염분은 20-35 psu 이내에서 높을수록 잠입률이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교수학습모형에 관련된 지식을 묻는 내용으로 주로 출제되었다. 이에 구체적인 개선방안으로 특정 교수학습모형의 이론적 토대가 되고 전체적인 교수설계를 하기 위한 기본 바탕이 될 수 있는 교수학습이론에 관한 내용, 또한 현재가정과교육에 있어서 유용한 교수학습법이라고 입증되고 있는 실천적 추론 가정과 수업에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실험재료 및 시약
시료 전처리
내부표준법과 외부표준법의 비교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및 동정
결과 및 고찰
내부표준법과 외부표준법의 비교
녹차의 휘발성 향기성분의 분석 및 동정
녹차엽의 채취 시기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변화
녹차엽의 재배지역에 따른 휘발성 향기성분의 차이
요약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