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전해수 처리한 생식 원료 곡류의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

원문정보

Change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in the Cereals of Saengsik, Uncooked Food by Washing with Electrolyzed Water

김철암, 오덕환, 이종욱, 정동옥, 은종방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investigated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of the Saengsik cereal grains-milled rice, brown rice, glutinous rice, and barley- by washing with electrolyzed water. There were no changes in the composition of all cereal grains that was dried with hot-air and freeze-dried after being washed with electrolyzed water. The L and a values were not affected by drying in milled rice, brown rice, glutinous rice, or barley, but the b value increased in milled rice and glutinous rice-this increase was greater with hot-air drying than with freeze-drying. The dietary fiber content of the all cereals increased with hot-air drying. The niacin content decreased in all cereals; the extent of this change was greater with hot-air drying than with freeze-drying. The β-giucan content of barley was higher in samples that underwent freeze-drying than in those treated by hot-air drying, but was not affected by washing with electrolyzed water. Thus, other than a change in color for milled and glutinous rice, no changes in the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and functional components these products were observed with freeze-drying. Data indicate that the electrolyzed water washing could be effectively used as pasteurization step in the uncooked cereal grains.

한국어

전해수로 처리한 생식 원료 백미, 현미, 찹쌀, 보리를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실시하여 이화학적 특성 및 기능성 성분의 변화를 조사하였다. 백미, 현미, 찹쌀, 보리의 단백질, 지방, 탄수화물, 회분 등 성분의 함량은 전해수로 처리하여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통하여서는 거의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미, 현미, 찹쌀, 보리는 전해수로 처리하여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실시한 후 L값과 a값이 변화가 없는 것으로 관찰되었고 백미와 찹쌀의 열풍건조를 실시한 시료가 증가한 것으로 나타났으나 전해수로 처리하고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와 전해수 처리를 하지 않고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식이섬유의 함량은 열풍친조를 실시한 시료가 증가를 나타냈으나 전해수로 처리한 시료와 처리하지 많은 시료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백미, 현미, 찹쌀, 보리 중의 niacin 함량과 보리 중의 β-giucan 함량은 열풍건조 및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가 서로 차이를 보이지만 전해수로 처리하여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와 전해수로 처리하지 않고 동결건조를 실시한 시료 사이에는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동결건조를 진행한 시료는 전해수 처리 전후 이화학적 특성과 기능성 성분 함량이 변화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생식 원료 중 곡류인 백미, 현미, 찹쌀, 보리의 전해수 처리 시 이들의 이화학적 특성 중 단백질, 지방, 및 탄수화물, 회분, 및 식이섬유의 함량과 색도에는 영향을 주지 않았고 기능성 물질 중 niacin과 β-giucan의 함량은 전해수 처리 후 열풍건조 시 약간의 영향을 나타냈으나 동결건조 시에는 전혀 영향을 주지 않았으므로 전해수를 이용한 세척을 생식 제조에 충분히 사용이 가능하다고 생각된다.서 유산발효대두는 영양성분이나 생리활성에 있어 청국장과 유사한 또는 그 이상의 품질을 지닌 것으로 나타나 향후 생선식을 비롯한 다양한 기능성 식품의 소재로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162 RVU와 217, 185, 175, 113 RVU로 측정되어 입자크기가 작아질수록 감소하였다 또한 호화액의 안전성을 나타내는 breakdown 값은 대조구가 105 RVU, 현미 쌀가루가 37-96 RVU로 측정되어다 DSC 분석결과 호화엔탈피(ΔH)는 대조구가 10.4 J/g으로 가장 높은 값이었고, 가장 작은 입도분포를 나타낸 HBrZMU가 6.1 J/g으로 가장 낮은 값을 보였다. 본 연구결과 가공제품으로 현미쌀가루 이용 시 침지, 건조방법 보다는 제분방법 즉 입도분포가 현미쌀가루의 품질특성에 않은 영향을 미치는 것을 알 수 있었다.저장하는 경우 6일 동안 후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다양한식품의 적용이 필요할 것으로 생각되어 진다.장발달에 관여하는 n-3계 지방산인 EPA, DHA의 함량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우리나라의 전통 식품이면서 지역특산물인 광천토굴새우젓은 그 이용가치가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대추과육 및 대추씨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는 생존률이 각각 52, 64%로 증가하여 대추씨 추출물이 H2O2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다.채식여학생은 8.8%, 비채식여학생은 17.8%이었다. 체중에 만족하는 정도를 보면 채식남학생 57.6%, 비채식남학생 23.8%,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은 15.8%가 만족한다고 하였다. 체중 조절 경험에서 경험이 있는 경우가 채식남학생 3.0%, 비채식남학생 31.0%, 채식여학생은 23.5%, 비채식여학생 31.7%이었다. 7. 골밀도 BQI값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와 방법
  재료
  시료처리
  일반성분 함량 측정
  색도 측정
  식이섬유 함량 측정
  Niacin 함량 측정
  β-Glucan 함량 측정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일반성분 함량
  색도
  식이섬유 함량
  Niacin과 β-Glucan의 함량
 요약
 문헌

저자정보

  • 김철암 Tie-Yan Jin. 전남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오덕환 Deog-Hwan Oh. 강원대학교 바이오산업공학부
  • 이종욱 Chong-Ouk Rhee. 전남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 정동옥 Dong-Ok Chung. 초당대학교 조리과학부
  • 은종방 Jong-Bang Eun. 전남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친환경농업연구사업단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