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후숙 온도에 따른 오미자의 이화학적 특성 변화

원문정보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at Various Temperatures

정평화, 김용석, 신동화

초록

영어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investigate the changes of physicochemical characteristics of Schizandra chinensis during postharvest ripening for 8 days at various temperatures. The juice yield of S. chinensis, which was 55.7% before postharvest ripening, was unchanged (55.3±0.6-56.3±0.6%) at 4℃ storage, but was decreased at the level of 6 and 7% at 25℃ and room temperature (RT), respectively. During storage at 25℃ and RT, the titratable acidities of S. chinensis were the highest at 7.49±0.03 and 7.20±0.03% after 6 days of postharvest ripening, respectively. During storage at 25℃ and RT, the soluble solid content of S. chinensis was increased from 8.2±0.1% at initial stage to a peak of 12.2±0.15% at 6-day storage, after which it decreased. L values (lightness) of S. chinensis were increased in all treatments during storage, and a values (redness) of 25℃ and RT treatments were increased from 5.04 initially to 6.77 and 7.65 at 8-day storage, respectively. The major free sugars of S. chinensis were fructose (0.55%), glucose (0.56%), and sucrose (0.50%). During storage at 25℃ and RT, the fructose and glucose contents were continually increased with increasing storage period, while the sucrose contents decreased after 6-day storage. Major non-volatile organic acids of S. chinensis were succinic (1.21%), citric (0.17%), and malic (0.07%) acids. Changes in the organic acids contents of S. chinensis at various temperatures showed a similar tendency to that of the free sugars. We estimated that the best conditions for the postharvest ripening of S. chinensis were 8 days at 4℃ storage, and 6 days at 25℃ and RT.

한국어

본 실험에 사용하였던 미숙성 오미자의 일반성분은 수분 79.6±0.8%, 조단백질 1.7±0.5%, 조지방 1.2±0.1%, 회분 0.6±0.0%이었다. 후숙기간 동안 착즙수율은 4℃에서는 55.3±0.6-56.3±0.6%로서 큰 변화가 없었고, 25℃와 실온에서는 6-7% 정도 감소하였다. 가용성 고형분 함량은 25℃와 실온 저장시 6일째 12.2±0.15%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에는 약간 감소하였다. pH는 4℃와 실온 저장시 후숙기간 동안 pH 2.76-2.81로서 큰 변화가 없었으며, 25℃ 저장시 초기 pH 2.81±0.02에서 점차 낮아져 저장 8일째 pH 2.68±0.03을 나타내었다. 적정산도는 25℃와 실온 저장시 저장 6일째 각각 7.49±0.03% 및 7.20±0.03%로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그 이후 감소하였다. 색도의 변화는 25℃와 실온 저장시 a값(적색도)은 초기 5.04에서 8일째 각각 6.77 및 7.65로 증가하였으며, L값(명도)은 후숙기간 동안 모든 처리구에서 증가하였다 유리당은 fructose(0.55%), glucose(0.56%), sucrose(0.50%)가 주로 검출되었으며, 후숙이 진행되면서 fructose와 glucose 함량은 증가하였고, sucrose 함량은 감소하였다. 총 유리당의 함량은 25℃와 실은 저장시 초기 1.61%에서 저장 6일째까지 각각 2.53%와 2.13%로 증가하였고, 후숙 8일째에는 각각 1.94%와 2.08%로 감소하였다. 유기산은 후숙 초기에 citric acid, malic acid 및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각각 0.17, 0.07 및 1.21%로서 succinic acid의 함량이 가장 많았고, 후숙기간 중 변화는 유리당의 경우와 비슷하였다. 오미자의 후숙을 위해서는 가용성 고형분 함량과 총 유리당 함량을 기준으로 할 때 4℃에서 저장하는 경우 8일동안, 그리고 25℃ 및 실온에서 저장하는 경우 6일 동안 후숙시키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재료
  일반성분
  착즘수율
  색도
  유리당 및 유기산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일반성분
  착즙수율의 변화
  가용성 고형분 함량의 변화
  pH 및 적정산도의 변화
  색도의 변화
  유리당 함량의 변화
  유기산 함량의 변화
  이화학적 품질인자들 사이의 상관관계
 요약
 문헌

저자정보

  • 정평화 Pyeong-Hwa Jeong.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
  • 김용석 Yong-Suk Kim. 전북대학교 바이오식품 소재개발 및 산업화 연구센터
  • 신동화 Dong-Hwa Shin. 전북대학교 응용생물공학부(식품공학)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