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감초의 에탄올 추출물의 항균활성 및 안정성 조사

원문정보

Investigation of Antimicrobial Activity and Stability of Ethanol Extracts of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김수정, 신재윤, 박윤문, 정구민, 이종화, 권대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Conditions for extraction of antimicrobial materials from licorice root, Glycyrrhiza glabra, were optimized. Among solvents tested, 95% ethanol gave highest antimicrobial activity, and was chosen as optimal extracting solvent. Extraction temperature and time were optimal at room temperature and for 12 hr, respectively. 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 of 95% ethanol extracts was determined against 14 microorganisms. Reference microorganisms included 6 Gram(-) bacteria, 4 Gram(+) bacteria, and 4 yeast strains. Ethanol extract exerted very strong growth inhibition on Gram(+) bacteria, while was moderately effective for Gram(-) bacteria and yeasts. Treatment at 180℃ for 30 min or extreme pHs merely destroyed antimicrobial activity of ethanol extract. These findings suggest ethanol extract of G glabra may be useful as natural preservativ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한방재료인 감초에서 항균력을 가지는 유효물질을 얻기 위해 추출 조건을 최적화한 후 최적 추출물의 항균 활성과 안정성을 조사하였다. 추출용매를 선정한 후 용매의 농도, 추출 온도, 추출 시간 등을 결정하였다. 감초를 서로 다른 극성을 가진 물, 메탄올, 에탄올, 아세톤, 에틸 아세테이트, 헥산 등의 용매로 추출한 후 항균 활성을 조사함으로써 에탄올을 최적 추출 용매로 선정할 수 있었다. 에탄올 농도별로 추출하였을 때는 무수에탄올일 때 항균 활성이 가장 높았으나 95% 농도와는 유의한 차를 보이지 않았으므로 비용을 고려하여 추출 용매는 95% 에탄올로 선택하였다. 95% 에탄올로 감초를 추출할 때 상온에서 12시간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후 14종의 Gram(+) 세균, Gram(-) 세균, 효모 등을 이용하여 추출물의 항균활성을 조사하였다. 여러 미생물에 대한 최소 억제 농도(Minimal inhibitory concentration, MIC)는 Gram(-) 세균은 250μg/mL , Gram(+) 세균은 250μg/mL 이였고 효모는 50-500μg/mL으로 조사 되어, Gram(+) 세균에 대한 탁월한 항균활성을 가졌다. 추출물을 열과 pH 처리한 후 항균활성이 감소하지 않고 잘 유지되는 것으로 보아 상기의 추출물은 열과 pH에는 비교적 안정하다고 판단된다. 감초 에탄올 추출물은 여러 미생물에 대한 항균활성을 가지며 열과 pH 에 대해서도 안정하므로 식품의 천연보존료로서 사용이 가능하리라 사료된다.

목차

Abstract
 서론
 재료 및 방법
  재료
  사용균주 및 시약
  감초의 추출조건
  항균활성의 측정
  추출물의 열 및 pH 안정성 검사
  통계처리
 결과 및 고찰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른 감초의 향균 활성
  에탄올 농도의 결정
  추출온도와 시간의 결정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향균활성
  감초 에탄올 추출물의 안정성
 요약
 문헌

저자정보

  • 김수정 Su-Jeong Kim. (주)대평
  • 신재윤 Jae-Yoon Shin.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 박윤문 Yoon Moon Park.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정구민 Koo Min Chung.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이종화 Jong Hwa Lee. 안동대학교 식품생명공학과
  • 권대혁 Dae-Hyuk Kweon. 성균관대학교 유전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