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Antioxidant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were investigated in vitro. Contents of total polyphenols in methanol extracts from sarcocarp and seed were 98.83, 138.99μg/mg, respectively. Radical-scavenging activities of methanol extracts were examined using α1α-diphenyl-β-picrylhydrozyl and 2,2'-azino-bis(3-ethylbenzthiazoline-6-sulfonic acid) radicals, and hydrogen peroxide assay. Inhibition effects of methanol extracts on peroxidation of linoleic acid were examined by ferric thiocyanate and thiobarbituric acid methods. Both sarcocarp and seed of Zizyphus jujuba var. inermis Rehder showed relatively high antioxidant activities in various systems.
한국어
본 실험에서는 풋대추의 유용자원으로의 이용가능성을 알아보기 위해, 풋대추의 과육과 씨를 각각 분리한 후 추출물을 제조하여 이들 각각의 총 폴리페놀 및 총 플라보노이드의 함량 측정하고 천연항산화제 및 합성항산화제로 널리 알려진 ascorbic acid와 BHA와의 비교측정으로 생대추의 항산화 활성을 검색해 보았다. 먼저 대추의 과육 및 씨의 메탄올 추출물에 존재하는 총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을 측정한 결과, 대추과육 추출물의 총 폴리페놀 함량은 98.83 μg/mg, 대추씨 추출물은 138.99 μg/mg으로 대추과육 보다는 대추씨에서 높은 폴리페놀 함량을 보였다.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은 대추과육과 대추씨 추출물이 각각 35.56 및 131.48 μg/mg으로 대추씨에서 플라보노이드 함량이 높게 나타났다. 각 시료의 DPPH 소거 활성을 농도별로 측정하여 비교한 결과, 10μg/mL의 농도에서 대추과육이 92%, 대추씨가 95%의 소거능을 보였고, BHA와 ascorbic acid(10μg/mL)에서 96% 정도의 항산화능을 보였다. 또한 ABTS+ 소거활성을 Trolox, BHA, ascorbic acid와 비교 측정한 결과, ABTS+ 소거활성법에서 표준물질로 사용되는 Trolox는 15μM에서 63% 정도의 소거활성능을 보였고, 추출물은 10010μg/mL에서 98-99% 정도의 ABTS+의 높은 소거활성을 보였으며, BHA와 ascorbic acid는 10μg/mL에서 99% 이상의 소거활성능을 보였다.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을 측정한 결과 같은 농도에서 DPPH radical이나 ABTS radical 소거활성보다 다소 낮은 소거활성능을 보였으며, 10010μg/mL의 농도에서 대추과육 추출물은 약 60%, 대추씨 추출물은 약 72%의 소거활성을 보였다.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를 측정한 경우에도 FTC가(약 91%)와 TBA가(84-86%)의 값의 차이는 보였으나 추출물의 산화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알 수 있었고, 대추과육 및 대추씨 추출물은 DPPH 및 ABTS radical에 대해 높은 소거활성을 보일 뿐만 아니라 hydrogen peroxide의 소거활성능이 뛰어나며 linoleic acid의 산화를 초기단계에서 효과적으로 억제하여 산화의 진행을 상당히 지연시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V79 cell을 이용하여 H2O2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한 대추과육 및 대추씨 추출물의 세포보호 효과를 살펴본 결과 H2O2만 처리한 세포의 생존률이 36% 정도인데 비해 대추과육 및 대추씨 추출물을 함께 처리하였을 때는 생존률이 각각 52, 64%로 증가하여 대추씨 추출물이 H2O2로 유도된 세포독성에 대해 높은 세포보호 효과를 보였다.
목차
서론
재료 및 방법
시료제조
총 폴리페놀 함량
총 플라보노이드 함량
α-α-Diphenyl-β-picrylhydrazyl(DPPH)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V79 세포주에 대한 항산화 효과
결과 및 고찰
폴리페놀 및 플라보노이드 함량
DPPH free radical 소거활성
ABTS radical 소거활성
Hydrogen peroxide 소거활성
Linoleic acid에 대한 항산화 효과
V79 세포주에 대한 항산화 효과
요약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