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화학/분석

시판 오이지의 품질 특성

원문정보

Qualit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Oiji, Korean Cucumber Pickle

박소현, 박완수, 김미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Physicochemical and sensory characteristics of commercial Oiji, Korean pickled cucumbers (six commercial and three traditionally made products) were investigated. Saltiness values for commercial and traditionally made products were 3.424-4.47 and 3.92-7,23%, and acidity and pH were 3.43-3.85 and 0.39-0.75%, respectively, Commercial products showed lower L and higher b values than traditionally made products. Redness of both products ranged from -1.47 to -3.71. Numbers of total microbial, lactic acid bacteria, and yeast in traditionally made products (1×107-1.3×109, 4×106-4.7×108, and 1.3×106-3×108 cfu/mL, respectively), were higher than those of commercial products (1×104-2×107, 1×104-6×106, and 1×104-6×106cfu/mL respectively). Texture analysis revealed fracturability (2,103-3,010 g) and hardness (409-890 g) varied among the products above. Overall acceptability scores of commercial products C1 and C2 were highest at 7.6-8.0 compared to other products (p<0.05).

한국어

시판 오이지 9종에 대하여 pH, 산도, 염도, 색도의 이화학적인 특성과 파쇄성, 경도, 씹힘성을 포함한 조직감 특성, 총균수, 젖산균수, 효모수의 미생물학적 특성, 및 관능적 특성을 분석하였다. 시판오이지 6종의 염도는 3.42-4.47%이었고 재래 오이지는 3.92-7.23%로 시판오이지에 비하여 높았다. 오이지의 pH 범위는 3.43-3.85, 5.10이었으며, 산도는 0.39-0.75%의 범위를 나타내었다. 명도는 시판오이지(37.86-41.48)가 재래오이지 (44.86-50.79)에 비하여 명도가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시판 오이지의 b값은 13.29-15.94이었고 재래오이지는 16.08-17.90으로 재래오이지의 황색도 값이 시판오이지에 비하여 높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판 오이지의 a값은-1.47-3.71의 범위이었다. 시판오이지중에서 산도가 높은 오이지는 b값이 높았고 산도가 낮은 오이지는 b값이 낮은 경향을 나타내었다. 시판오이지 6종의 총균수(1×102)는 재래오이지 3종(4×106-4.7×108cfu/mL)에 비하여 적었다. 효모수는 시판오이지 6종(1×104-6×106cfu/mL 재래오이지 3종(1.3×106-3×108cfu/mL)에 비하여 적었다. 기계적 조직감 특성 중 파쇄성은 시판오이지 6종은 2,103-2,836g이었고, 재래오이지3종은 2,255-3,010g이었다. 경도는 시판오이지 6종은 475-688g이었고, 재래오이지 3종은 409-890g으로 차이가 있었다. 전반적인 수용도를 평가한 결과, 가장 높은 점수를 받은 제품은 C1과 C2로 7.4-8.0점을 나타내었다. 관능적 특성치와 이화학적 특성치를 주성분 분석한 결과 제1주성분은 79.94%, 제2주성분은 19.94% 설명 가능하였다. 시판오이지의 특성치는 제1주성분이 79.94% 설명 가능하였으며, 제2주성분은 19.94% 설명 가능하였다 C1, C2, C3 및 C7은 전반적인 수용도, 전반적인 맛, 감칠맛, 외관, 경도, b value가 제2주성분에 대하여 음의 방향으로 부하되어 있었다. 또한, 기계적 특성치 중에서 경도와 씹힘성은 염도와 양의 상관을, 관능적 특성치중에서 전반적인 수용도는 감칠맛과 전반적인 맛에 대한 수용도와 양의 상관을 나타내었다(p<0.05).

저자정보

  • 박소현 Park, So-Hyun.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박완수 Park, Wan-Soo. 한국식품개발연구원
  • 김미리 Kim, Mee-Ree. 충남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