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미생물/발효/생물공학

젓갈의 첨가가 김치의 품질에 미치는 영향

원문정보

Effects of Jeotkal Addition on Quality of Kimchi

고영태, 황자경, 백인희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Effects of jeotkal (salted-fermented seafoods) addition on acid production, growth of lactic acid bacteria, sensory properties, and volatile odor components of kimchi were investigated. Changes in pH and acidity of kimchi added with myulchi-aekjeot, kanari-aekjeot, and aekche-Jukjeot were similar to, whereas those of saeu-jeot sample on 0, 2, and 4 days of ripening were slightly different, those of control sample. Changes in pH and acidity of jogae-jeot sample during whole ripening period were markedly different from those of other samples. Numbers of lactic acid bacteria of all samples on 0 and 4 days were 1.8-2.6×105 and 1.0-2.5×109 CFU/mL, respectively. Overall acceptability and taste of kimchi added with jeotkal except jogae-jeot were higher than those of control sample, with saeu-jeot-added kimchi showing the highest scores. Eight volatile odor components were identified in 6-day-ripened kimchi samples, and those of saeu-jeot sample were slightly higher than those of other samples. Diallyl sulfide and methyl propyl disulfide were produced in 6-day-ripened samples. Ethanol, methyl allyl sulfide, and dimethyl disulfide concentrations increased, whereas that of allyl mercaptan decreased in 6-day-ripened samples compared to unripened ones.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젓갈무첨가시료를 표준시료로하고 5종의 젓갈을 각각 첨가하여 김치를 제조한 후, 15℃에서 숙성하면서 젓산균의 산생성과 생육, 숙성된 시료의 관능적 특성 및 몇가지 휘발성냄새성분을 분석하였다. pH와 산도의 결과를 보면 표준시료, 멸치액젓, 까나리액젓, 액체육젓시료의 경우는 pH와 산도의 변화 pattern이 유사하였으나, 새우젓시료의 경우는 0. 2, 4일의 pH와 산도의 변화 pattern이 다소 달랐으며, 조개젓의 경우는 전 실험기간을 통하여 pH와 산도의 변화 pattern이 다른 시료와 뚜렷하게 차이를 보였다. 젖산균수의 변화를 보면, 모든 시료의 담근 직후의 젖산균수는 1.8-2.6×105 CFU/mL로 큰 차이가 없었으며, 4일 후의 젖산균수도 1.0-2.5×109 CFU/mL로 표준시료와 젓갈시료 사이에 큰 차이가 없었다. 관능검사의 결과를 보면 숙성 정도에 따라 다순 차이는 있지만 전반적인기호도와 맛은 조개젓시료를 제외한 젓갈시료, 특히 새우젓시료가 표준시료보다 우수하였다. 15℃에서 6일간 숙성된 시료의 휘발성냄새성분을 분석한 결과를 보면, 8개의 냄새성분이 확인되었으며 대조시료와 젓갈시료사이에는 근 차이가 없었으나, 새우젓시료의 휘발성냄새성분함량이 다른 시료보다 다소 높았다. 비숙성시료(0 day)와 비교하면 diallyl sulfide와 methyl propyl disulfide가 새로이 생성되었고, ethanol, methyl sulfide, sulfide, dimethyl disulfide는 증가하였으며, allyl mercaptan은 감소하였다.

저자정보

  • 고영태 Ko, Young-Tae.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황자경 Hwang, Ja-Kyung.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 백인희 Baik, In-Hee. 덕성여자대학교 식품영양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