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라면 유지의 안전성에 관한 연구 ; 시험저장중 라면유지의 산패에 대하여

원문정보

Stability of Lipids in Ramyon (deep fat fried instant noodle) -I. Oxidative Changes in the Ramyon Lipids during Storage-

최홍식, 권태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Oxidative changes of the Ramyon lipids were studied under three experimental storage conditions. Ramyon was 1) exposed to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at , 2) incubated in the dark at and 3) irradiated with ultra-violet light at . In the study, changes in acid value, peroxide value, carbonyl value, TBA number, fatty acid composition and iodine value were determined with the lipids extracted from the Ramyon samples in intervals for a period of 20 weeks. Acid value, peroxide value, and TBA number of the samples under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and incubation increased slightly during storage, while a sharp increase of those values were noticed with the samples of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Especially, the TBA number of the Ramyon lipid under ultra-violet light irradiation markedly increased within 10 weeks and then decreased. With this change in TBA number, however, the bound form of malonaldehyde increased gradually. During the storage under incubation, and ultra·violet irradiation for 10 weeks, the content of linoleic and linolenic acids decreased, while palmitic and stearic acids increased. However, only small changes were noticed in iodine value of the samples. On the other hand, oxidative rancid odor appeared at the end of 16 weeks storage under fluorescent light irradiation and incubation, while it took only 4 weeks with the sample stored under ultra-violet irradiation.

한국어

국산(國産) 라면제품을 형광등조사구(螢光燈照射區) 고온암소구(高溫暗所區) 자외선조사구(紫外線照射區) 등의 처리구(處理區)로 나누어 20주(週)동안 저장하고, 경시적(經時的)으로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carbonyl가(價) TBA가(價)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 옥도가(沃度價) 등의 지방산화현상(脂肪酸化現象)을 살펴 본 바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전반적으로 형광등조사구(螢光燈照射區) 및 고온암소구(高溫暗所區)의 라면은 완만한 산화현상(酸化現象)을 보였으며, 저장 16주(週)에 변패취(變敗臭)를 확인하였고, 자외선조사구(紫外線照射區)의 라면은 저장초(初)부터 급격한 산화(酸化)가 일어났으며, 저장 4주(週)에 변패취(變敗臭)를 확인하였다. 2) 산가(酸價) 과산화물가(過酸化物價) TBA가(價)등은 각처리구(名處理區) 공(共)히 전실험기간동안 증가하였으며 자외선조사구(紫外線照射區)에서 그 증가현상(增加現象)은 현저하였다. 특히 TBA가(價)는 자외선조사구(紫外線照射區)에서 저장 4주(週)이후 급격히 증가하여 10주(週)에 그 정점(頂點)을 이루고 다시 감소하였다. 이 때의 bound malonaldehyde는 14주(週)까지 증가하다가 그 이후 완만히 변화하였다. 3) 저장초(貯藏初) 그리고 저장(貯藏) 12주(週)의 고온암소구(高溫暗所區) 및 자외선조사구(紫外線照射區)의 라면유지(油脂)에 대한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을 살펴 본 결과 고온암소구(高溫暗所區)에선 큰 변화가 없었으며, 자외선조사구(紫外線照射區)에선 저장초(貯藏初)의 지방산조성(脂肪酸組成)에 비(比)하여 linoleic acid 등 불포화 지방산의 상대적(相對的)인 감소현상을 볼 수 있었으며 저장 중 옥도가(沃度價)의 감소(減少)가 이러한 사실(事實)을 뒷받침하고 있다.

저자정보

  • 최홍식 Hong-Sik Cheigh.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식량자원연구실
  • 권태완 Tai-Wan Kwon. 한국과학기술연구소 식량자원연구실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