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여러 조건하에서 저장된 감자튀김의 산패에 있어서 BHA 와 Ascorbic Acid 의 상대적 억제효과에 대하여

원문정보

Relative Effectiveness of BHA and Ascorbic Acid in Retarding the Rancidity Development of Potato Chips Stored in Various Conditions

김동열, 김동훈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e present study, the relative effectiveness of BHA, ascorbic acid, and BHA+ascorbic acid on the rancidity development of potato chips in various conditions were examined. BHA, ascorbic acid, and their mixture (BHA 0.05%, As. A 0.1%, and BHA 0.05%+As. A 0.1% relative to the weight of the potato chips) were dissolved respectively in 95% ethyl alcohol and incorporated to potato chips in the form of atomized mist. When the potato chips were stored in a dark place at , BHA was very effective in retarding the rancidity development of the potato chips. Ascorbic acid showed some antioxidant activity, but it was less effective than BHA. When BHA and ascorbic acid were used together, the antioxidant activity of the mixture appeared to be primarily due to BHA. Irradiation of direct sunlight to the potato chips, which were covered with coloress transparent polypropylene films, reduced the antioxidant activity of BHA incorporated to them. Ascorbic acid appeared to lose its antioxidant activity completely under the same condition. BHA retained a considerable degree of antioxidant activity when yellow transparent polypropylene films were used to cover the potato chips. Ascorbic acid, however, kept little antioxidant activity even in this condition.

한국어

BHA (0.05%), ascorbic acid (0.1%) 그리고. BHA (0.05%)+ascorbic acid (0.1%)를 각각 첨가시킨 감자튀김을 여러 조건하에서 저장할 때 이들 BHA, As.A 및 BHA+As. A의 상대적인 산패억제 효과를 비교 관찰하였다. 즉 감자튀김을 암소(暗所)에서 로 저장하였을 때는 감자튀김의 산패억제에 대한 BHA의 효과는 매우 컸다. Ascorbic acid도 상당한 항산화 효과를 보였으나 BHA 보다는 약하였으며, 한편 BHA와 ascorbic acid를 동시에 처리하였을 때에는 그 효과는 BHA 단독의 경우와 거의 같았다. 투명, 무색 Polypropylene film으로 덮은 감자튀김을 하루 6시간씩 일사광선에 조사(照射)시키면서 저장하였을 때는 BHA의 항산화력은 상당히 감소되었으며, 한편 ascorbic acid의 항산화력은 거의 완전히 상실되었다. 그러나 황색으로 착색된 투명 polypropylene film을 대신 사용하였을 경우에는 BHA는 그 항산화력을 상당히 잘 유지하였다. 한편, ascorbic acid는 이와 같은 조건하에서도 그 항산화력을 거의 상실하였다.

저자정보

  • 김동열 Hong-Lyour Kim.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 김동훈 Dong-Hoon Kim. 고려대학교 농과대학 식품공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