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반논문

한국원자력연구원 새빛연료과학동 굴뚝방출 방사능 평가

원문정보

Evaluation of Radioactive Stack Air Effluents from the Advanced Fuel Science Building at KAERI

장시영, 김봉환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Radioactivities of the stack air effluents from the Advance Fuel Science Building (AFSB) at KAERI have been investigated and evaluated. In this AFSB, nuclear fuels for the HANARO research reactor have been fabricated and the advanced nuclear fuels have been studied. A stack air monitoring system has been continuously operating to monitor the stack air effluents from the facility to protect the environment. As the results of the periodical radioactivity measurement and both the gamma and alpha spectrometry for the millipore filters taken from the stack air monitor from January until March 2008, a trace amount of primordial 40K and the short-lived decay products of natural borne 222Rn and 220Rn have been detected. However, the radioactivities have rapidly decayed to the level below the Minimum Detectable Activity (MDA) of the counting system. Therefore, it was evaluated that no uranium isotopes have been released to the atmosphere from the stack of the AFSB at KAERI.

한국어

한국원자력연구원 새빛연료과학동의 굴뚝에서 대기로 방출되는 배기의 방사능을 측정, 분석 및 평가하였다. 동 시설에서는 연구용원자로 하나로의 핵연료를 생산하는 외에 첨단 핵연료를 연구하고 있으며 환경을 보호하기 위하여 시설외부로 방출되는 굴뚝배기 방사능 감시기를 연속 가동하고 있다. 2008년 1월 ~ 3월동안 굴뚝배기 방사능 감시기의 밀리포어 집진필터에 포집된 방
사능과 핵종을 정기적으로 측정하고 핵종을 분석한 결과, 천연방사성 핵종인 라돈(222Rn)과 토론(220Rn)의 단 반감기의 딸핵종들 및 40K이 미량으로 검출되었으나 72시간 이내에 계측기의 최소검출방사능(MDA) 이하로 붕괴하였으며 우라늄 핵종은 검출되지 않았다. 이로서 한국원자력연구원 새빛연료과학동으로부터 우라늄 핵종은 대기중으로 방출되지 않는 것으로 평가되었다.

목차

요약
 1. 서론
 2. 측정 및 분석
  2.1 굴뚝배기 방사능 감시계통
  2.2 굴뚝배기 방사능농도의 변화추이
  2.3 필터 시료채취 및 방사능 측정
  2.4 시료의 감마핵종 분석
  2.5 필터시료의 알파핵종 분석
 3. 결과 및 고찰
 4.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장시영 S. Y. Chang.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안전관리팀
  • 김봉환 B. H. Kim. 한국원자력연구원 방사선안전관리팀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