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논문

Alternative for Transforming Higher Education :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원문정보

고등교육개혁의 새로운 대안 : 지식경영 전략

Hae-Young Lee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order to address and overcome challenges that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confront, it is critical for higher education institutions to embrace and recognize the applicability and implication of knowledge manag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erceptions of department chairs of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A research question guided this inquiry: how academic department chairs in colleges of education differ in their perceptions of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by organizational factors. Data were collected through a web-based survey. Descriptive statistics, t-tests, and analysis of variance based on indices and scales for the importance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were examined. Implications for practice and future research were drawn.

한국어

지식기반경제에서도 고등교육기관은 양질의 인적자원을 육성하고 새로운 지식을 창출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하면서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다. 지식경영은 고등교육기관의 리더십을 개발하고 바람직한 조직 문화를 조성하고 정보통신기술을 적용하며 의사결정의 중요한 근거를 제시하는 평가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틀을 제공한다. 고등교육기관의 리더들은 전체 프로그램의 개선을 위하여 새로운 교육과정을 설계하고 프로그램을 평가하며 조직 문화를 조성하는 전략을 강구해야 한다. 이 연구는 교원양성을 담당하는 고등교육기관 학(과)장들의 지식경영의 중요성에 대한 인식에 대하여 조사하려 한다. 문헌조사를 통해 이 연구는 지식경영을 리더십, 문화, 기술공학, 평가 등으로 분류하였고 각 영역마다 주요한 구성요소를 파악하였다. 이 연구는 한 가지 기본 가정이 있다. 첫째 가정은 고등교육기관의 학(과)장들은 그들의 경험과 지식에 근거해서 다양한 문제들을 해결하고 있으며 따라서 새로운 조직관리 전략인 지식경영이론을 이해하는 수준이 다를 것이라는 것이다. 이 연구의 분석단위는 고등교육기관의 학과이고 학(과)장을 프락시(proxy)로 활용하였다. 다양한 학과의 리더들이 지식경영 전략을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가에 대한 차이를 알아보기 위하여 이 연구는 학교의 형태(사립 혹은 공립), 학과장 재임기간, 학과의 크기(전체 교강사 수, 학생 수, 연간 예산, 예산 운용 상황, 학과 미션에 지식경영이 포함되어 있는가에 대한 여부, 온라인 과목 개설 여부, 전자 신문 등의 독립변수 등을 중심으로 분석하였다. 분석 대상은 미국의 National Council for Accreditation of Teacher Education에 소속되어 있는 미국 북중부 지역 7개 중의 고등교육기관들을 대상으로 하였다. 총 319명의 학(과)장에게 인터넷기반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159명의 학(과)장이 응답하였다. 설문지는 Arthur Anderson Consulting과 American Productivity and Quality Center가 개발한 Knowledge Management Assessment Tool을 파이럿 검사를 통해 수정한 것이다. Statistical Package for Social Science(SPSS) 15.0 Graduate Version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검증 및 Analysis of Variance(ANOVA) 등을 사용하여 학(과)장들의 지식경영에 대한 인식도 차이를 분석하였다. 주요 분석결과는 학(과)장들은 학습과 명확한 비전 설정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있으며 신뢰 및 자유로운 의사소통이 가능한 조직 문화 조성이 매우 중요한 지식경영이 성공요인을 인식하고 있었다. 응답한 학(과)장들은 정보과학기술을 관리시스템, 특히 조직구성원간의 협력을 위한 중요한 기능을 담당하며 이를 위하여 새로운 기술에 대한 적절한 훈련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다. 그러나 학(과)장들은 지식경영전략을 평가의 도구로서는 중요하게 생각하고 있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런 분석결과를 근거로 앞으로 지식경영 전략을 고등교육기관에 적용하는 것과 지식경영 이론 연구에 주는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목차

Abstract
 APPLICATIONS OF KNAWLEDGE MANAGEMENT STRATEGIES TO HIGTER EDUCATION
 THE FUNCTIONAL DOMAINS OF KNOWLEDGE MANAGEMENT STRATEGIES
  Leadership
  Culture
  Technology
  Measurement
 METHODS
  Pilot Study
  Main Survey Instrument Design
  Population
 DATA COLLECTION AND ANALYSIS
  Data Collection Procedures
  Data Analysis Procedures
 REAULTS
  Results of the analyses
 DISCUSSIONS, LIMITATIONS, AND IMPLICATIONS
  Discussion of the results
  Limitations of the study
  Impilcations for Practice
  Impilcations for Future Research
 Reference
 Appendix
 요약

저자정보

  • Hae-Young Lee 이해영. Senior Project Manager of National Institute for Lifelong Education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