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ere are more than 70 colleges with the 4 year specialty of Korean, and the amount is increasing with years. Our Chinese students of this specialty can learn the history and culture of Korea by studying the courses like Korean History, Korean Culture and The Survey of Korea. They even take Korean history as a useful tool of improving their cultural quality and learning the language well. However, there are two problems during the process of learning Korean history: the shortage of teaching material and the dispute of history issues. The problem of teaching this course is that teachers and students are confused by the difference of knowledge of history issues and the argument inspired by them. There is a great difference in opinion and interpretation between China and Korea in the aspects of history of nationality, history of country, Ancient History of Goguryeo, Balhae Kingdom, the ancient relation of Korea and China, especially the Tributary State System. Moreover, some freewheeling interpretation of history by a very few Korean scholar trigger a strongly besetment and scunner. There are several principles in teaching history if we want to solve these problems in history education. Firstly, the objective of history education is to expend our knowledge of the past and to bringup our civilization, not to train national identity or ethos based on the need of reality. The education of history should not only be the education of national history, but also be a distinctive perspective, taking the wholeness and history-view about world as starting point. Secondly, the teachers should bring up a common historical view by researching and compiling textbooks together. They should also take in country history in the trend of universal history, clear the obstacle of history between nationality and country, to form a common historical consciousness of Northeast Asia in the range of East Asiaor even the world. At last, we should overcome differences and seek common ground in the process of developing relation of friendship, get rid of different political views and bridge the gap step by step to get consensus by academic exchange and cooperation. In the teaching of history, never avoid history problem deliberately on the premise that respect history. If the problem is unable to avoid, we should take the method of objective direct account, and give the historical problem and viewpoint with disagreement to the students from beginning to end. Then they will make judgment and improve their level during the studying. And what’s more, we must eliminate different opinion and get across consensus on the base of overcome difference and seek common ground.
한국어
이 글은 필자가 한국어 전공의 학생들에게 한국역사, 중․한관계사를 가르칠 때의 소감이다. 중국에서 한국어 학과를 개설한 4년제 대학교는 70여개에 달하고 그 수자가 지금에도 계속 늘어나고 있다. 일반적으로 한국어 학과의 학생들은 “한국역사”, “한국문화”와 “한국개황” 등 과목들을 통해 한국 역사와 문화를 배운다. 그리고 한국역사를 배우는 것은 문화소질을 양성하고 한국어 실력을 높이는 방법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면서도 한국어 학과의 학생들이 한국역사를 배우면서 교과서의 부족 문제와 분쟁이 있는 역사문제들을 많이 부딪히게 된다. 한국과 중국은 역사 문제에 대한 이해의 차이 그리고 이것으로 인해 발생한 분쟁은 한국역사를 가르치는 선생들과 한국역사를 배우는 학생들로 하여금 혼란에 빠지게 한다. 이것들은 다름아닌 한국역사 교육의 난점으로 된다. 한국사 교육에 있어서의 이런 문제들을 해결하려면 교육과정에서 다음과 같은 원칙들을 지켜야 한다고 했다. 첫째, 역사교육의 목표는 현실의 요구에 따라 민족주체성과 민족정신을 양성하는 것이 아니라 과거에 대한 이해를 확대시키고 인문소양을 양성할 것으로 정해야 한다. 역사교육은 자기 나라 역사의 교육이 아니라 일개국의 국한을 벗어 전체적이고 세계적인 역사관으로 역사를 전면적으로 분석해야 한다. 둘째, 공동으로 연구하여 교과서를 편찬하고 공동적인 역사관을 세워야 한다. 세계사의 조류 중에서 국가사를 이해하고, 문화의 다원화조류 중에서 국가사를 고려하여 동북아시아 지역의 공동역사의식을 확립시킨다. 셋째, 우호관계를 발전시킬 때 특정한 정견을 버리고 일치하는 점은 취하며, 의견이 서로 다른 점은 잠시 보류하여 학술교류와 공동연구를 통해 차이를 줄이고 공동의식을 배양해야 한다. 중․한 양국간에 이견이 있는 문제점들에 대해 객관적으로 직술하는 방법으로 사실 그대로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학생들로 하여금 공부하면서 판단하도록 한다. 물론 더 중요한 것은 이러한 이견을 점차 없애고 공통적 인식을 도모할 것이다.
목차
1. 들어가는 말
2. 한국어 전공 학생에 대한 한국역사 교육의 지위와 교과서 현황
1) 지위
2) 교과서 현황
3. 한국사 교육의 제문제
1) 고구려 - 발해문제를 중심으로 한 고대사 문제
2) 칙봉조공관계
3) "대한국사관"의 영향
4. 한국사 교육 중의 문제를 해결하는 방안
1) 역사교육이론과 세계역사관을 수행해야 한다
2) 공동 연구하여 교과서를 편찬하고 공동 역사관을 세워야 한다
3) <한국사>의 교육 경험
5.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 1東아시아國際社會의 外交制度;朝貢制度를 중심으로네이버 원문 이동
- 2동북아역사재단, 중국의 ‘동북공정’ 추진과 그 문제점,
- 3白永瑞, (2005) 東亞歷史?科書和歷史?育, 王恩美、王元周譯, 二十一世紀
- 4兪碩在, 古代亞洲的朝貢、冊封是一種外交方式, 『朝鮮日報』中文網站 2004년8월3일,
- 5金景一, (2002) 淺論中國與朝鮮半島關係史的三個層面, 東疆學刊
- 6邊衆, (2003) 邊衆(李大龍), ?試論高句麗歷史硏究的幾個問題?, 『光明日報』, 2003.6.24,
- 7孫衛國, (2002) 事大主義與朝鮮王朝對明關係, 南開學報
- 8葉書秀, (2007) 葉書秀, 大韓國史觀官方是推手, 臺北: 『聯合報』2007-07-10,A15, 聯合報
- 9蔡蔚群, Sam Wineburg的?史?育?究,
- 10鄭成宏, (2007) 檀君神話成事實, 世界知識
- 11(2005) 中日韓共同編纂東亞近現代史: 讓歷史告訴現在和未來, 『人民日報』, 2005.6.10, p.5,
- 12국사편찬위원회, (1995) 한국사, 제22권
- 13(2005) 미래를 여는 역사, 한겨레출판
- 14윤명철, (2004) 역사전쟁, 안그라픽스
- 15??三?的近?代史共同??委??, (2005) ??三?的近?代史, 北京: 社?科?文?出版社
- 16全海宗, (1997) 中??系史?集, 北京: 中?社?科?出版社