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Enhancing academic foundation of Koreanology overseas as well as meeting various demand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require organic cooperation with Koreanology field in Korea. Specific situations in each region and accomplishments by each sector should be harmoniously communicated for stable and long-term development of Koreanology overseas and ultimately for promoting recognition of Koreanology throughout the world. Attention and effort from domestic Koreanology field are much needed considering demand of Koreanology and Korean language are increasing among countries with relatively weak academic foundation. Russia also has weak academic foundation on which demand of Koreanology is not systematically managed; therefore close mutual cooperation with Koreanology field in Korea is needed. Koreanology in Russia focuses more on practical purposes in which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for job opportunities, despite the change in overall environment including objects, goals and core of Koreanology; therefore it is hard to consider specificity of Koreanology in Russia from long-term perspective. This situation led to growing dependency on non-professionals for major part of increas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courses and Koreanology classes and majority of teaching material developments and education processes are not continuous and consistent but sporadic. In long-term perspective, development of specialized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ology is needed to enhance the internal foundation of Koreanology in Russia through practical cooperation process and change in quality of Koreanology for specificity of Koreanology in Russia. Specialized teaching materials for Koreanology should help with more sophisticated communication skills beyond beginner level communication skill and practical purposes; promote further understanding on Korean culture; and contribute to expanding foundation to train experts of Korea in Korean literature, history, society and economy. In addition, practical cooperation based on systematic long-term plan is needed to change the quality of Koreanology in Russia. Such cooperative relationship should be able to enhance specificity of Koreanology in Russia, improve the quality of Koreanology and establish stable research and education system within Russia. Practical cooperative system among scholars and educational organizations in Russia and Korea should be established to systematically organize specialized knowledge of Koreanology.
한국어
러시아 한국어교육 및 한국학은 학문 내적, 외적인 기반이 취약해 최근 증가 추세에 있는 한국학의 수요를 체계적으로 수용하지 못하고 있어 국내 한국학계와의 긴밀한 상호협조가 절실한 실정이다. 동기와 목적, 그리고 주체를 포함한 전반적인 환경이 달라졌음에도 불구하고 러시아 한국어교육은 취업을 중심으로 한 실용적인 목적에 치중되어 장기적인 차원에서 러시아 한국학의 전문성을 제고하기 어렵다. 따라서 양적으로 증가한 한국어교육 및 한국학 강좌의 많은 부분을 비전문 인력에 의존하고 있는 상황이 반복되고 있으며, 교재 개발이나 교육 과정 또한 주로 일회적이고 산발적으로 차원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장기적인 차원에서 러시아 한국학의 전문성을 제고할 수 있는 실질적인 교류 협력 과정을 통해 러시아 한국학의 질적인 전환을 뒷받침하고 이를 통해 러시아 한국학의 내적 기반을 강화하는 데 기여하기 위해 한국학 전문 교재의 개발이 필요하다. 한국학 전문 교재는 회화 습득이라는 초보적, 실용적 목적을 넘어서 의사소통 능력을 고급화하고 한국문화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시킬 수 있어야 하며, 한국문학, 역사, 사회, 경제 등을 전공하는 한국 전문가 양성의 토대를 확대하는데 기여해야 할 것이다. 또한 러시아 한국학의 질적인 전환을 위해서는 체계적이고 장기적인 계획을 바탕으로 한 실질적인 협력 관계를 구축해야 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이러한 협력 관계는 러시아 한국학 자체의 전문성을 강화하는, 러시아 한국학의 체질을 개선하여 연구 및 교육 시스템을 안정적으로 구축하는 방향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이를 위하여 러시아 현지의 문화적 특성 및 교육 환경을 반영할 수 있도록 러시아와 한국 학자 및 교육기관과의 실질적인 협력 시스템을 구축하여 한국학의 전문적 지식을 체계적으로 구성하는 것이 시급하다.
목차
1. 서론 : 해외 한국학의 정체성과 한국학의 전환기
2. 러시아 한국학의 현황과 문제점
1) 러시아 학국학 및 한국학자 현황
2) 러시아의 한국학 교재 발간 실태
3. 러시아 한국학의 진흥과 전문 교재 개발
1) 한국학의 전문성 강화와 교재 개발
2) 한국학 전문 교재의 방향과 초점
4. 교재 구성의 방향 : 언어학과 문학을 예로
1) 언어학 교재의 개발 방향과 구성
2) 문학 교재의 개발 방향과 구성
5. 결론
참고문헌
Abstrac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