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한국인문학

박경리 문학의 생명사상

원문정보

The lifelogy of Park Kyung ni' Works

김현숙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writer's ultimatum is create a world in which all the living creatures in the universe help each other live a fuller life. The main theme is lifelogy in Park Kyung ni' works. she writed has been emerged latest of her life. The 20th century in Korea is marked for its chaos and change the fallout of the world war that came along with the opening-up of the peninsular to the outside world liberation from the grips of Japanese colonial rule. That is the time when breakout of Korean War in 1950 and the temporary rule by the US military administration right after the end of the war, when drive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democracy amid the social and political turmoil. And situation of nation is the on-going pursuit of globalization, which has to be understood in a different context from what was to be opened in the early 20th century. In sum, Korea has gone through a grueling, yet persistent process of modernization. The peroid of Korean history in 1950-1970 when she worked short story, and novel, was during the korean war. She experiensced the caos of society and then she writed the createed the character's death in her works.. But she expressed that they can be enjoy the life re many animal, birds, ect in them. On her part, everything is importent in nature not only human but also animals. The raison d'etre of literature, according to the writer, lies in its capacity to express things in totality and to see human beings as a whole. In literature, the society should be seen as a whole, while the earth and the universe should also be understood in totality. With totality, it means one should not see the world from only a certain perspective: instead one has to learn to embrace its whole aspects, that is, its dark side as well as its bright side and to accept them as they are. What the writer reiterates in her works is that human greed can not be the answer for our pursuit of life; we can find the answer in nature. The theme of my paper is the lifelogy issue in her works -in her entire novels including Land(토지). To the writer, death is another face of life as was revealed in her early works: the death means a destiny and an inevitable conclusion of life. In the meantime, her later works, especially Land(토지), clearly show in what direction the writer's spiritual journey has led her. She came to a new awakening. She began to appreciate the value of human beings as a creature with 'life' including animals and ect in nature She was impressed by the preciousness of life. Now the restoration of life becomes her ultimate concern: how we can restore 'life' in everying in naturre as well as in human being. While her early works featured the greediness of human nature, her novels in the later years espouse the virtues of modesty and humility. She tells her readers repeatedly why we have to think about from all kinds of greed, and now she concedes that the prime concern of our existence is 'being' itself.

한국어

생전에 <토지>의 작가로 불리기를 원했던 박경리의 생명사상은 초기 작품 활동 시대보다는 <토지>후기로 오면서 서서히 나타나다가 작가활동 후반부 원주 메지리의 삶과 청계천 복원문제에서 보듯 실천적인 삶의 모습으로 들어나게 된다. 그러나 그 생명사상은 갑자기 시작된 주장은 아니다. 작가에게 있어 생명사상은 스스로가 경험하고 보고 살아온 삶속에 배태되어 있던 것이 자연스럽게 흘러나오게 되었으리라 생각한다. 중심 내용인 인간만이 아니라 자연의 모든 것들에게는 생명이 있을 뿐만 아니라 모든 것들의 생명은 귀하며 존중되어야 한다고 말하고 있다. 박경리의 이러한 생명사상은 그만의 것이기 보다 우리 민족의 전통사상이 삶이 다양화되고, 문명 문화, 개발 등으로 변화하는 세계에서 잃어버린 우리에게 내재되어 있는 본래 모습이 작가에게서 발현되고 구체화되어 나타난 것이라 여겨진다. 작가는 우리의 역사와 정치사 속에서 잃어버리고 묻혀졌던 것들을 표면화하고 작품 속에 표현해냈다. 작품에 들어내는 방법은 연민과 사랑으로 생명의 소중함을 표현했으며, 서로가 서로를 용서하고 살리는 상생의 방법을 모색하는 방법을 택하고 있다. 또한 자연과 인간의 관계가 상하의 지배 관계가 아니라 서로의 존재가 우주적인 질서임을 인식하고, 더불어 사는 세상이어야 함을 강조하고 있다. 작가는 작품에서 선하고 악한 모든 등장하는 인물들의 그 존재까지도 인정하는 것이다. 작가는 우리나라의 정치적으로 혼란기였던 작가의 초기 단편과 중편 작품에서는 죽음의 문제가 많이 다루어졌었다. 하지만 그 죽음은 인간으로서 살아내기 어려운 상활에서 작중 인물들이 택하는 것은 삶에 대한 포기는 오히려 역설적인 죽음이었다. 하지만 작품 활동 후반기로 오면서 작가는 본격적인 생명의 존귀함을 들어내는 사상을 실천하는 모습으로 보여준다. 인간본위의 자연을 지배하면서 개발하고 황폐화 시키는 욕심으로 사는 것이 아니라 자연과 함께 살면서 서로를 살리는 상생(相生)의 세계를 만들려는 것이 작가가 추구하는 작품의 세계이다.

목차

국문개요
 1. 들어가는 말
 2. 역사적 체험과 생명의식
 3. 연민과 사랑의 생명표현하기
 4. 생명과 상생의 길 찾기
 5. 마무리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김현숙 Kim, Hyun-Sook. 이화여대 국어국문학과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