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특집 : 생명 선교

농촌 선교와 생명 살리기 운동

원문정보

Korean Rural Mission and Life-giving Agriculture Movement

한경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are now facing a serious situation with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Especially the global warming seems to lead to climate disaster in the near future. It is, of course, originated from industrial revolution, but in recent years, neo-liberalism is the driving force behind the rapid destruction of environment through unlimited economic competition all over the world. America invaded Afganistan and Iraq for national profit. Many conflicts between nations are occurring in the world. Life and Peace are two important problems for humankind to solve in the future. The Korean government has also developed national industry for the last forty years. Our way of life has improved more significantly than in the past. Koreans are enjoying convenience and affluence. With the industrial development the agricultural technology has also advanced to make use of chemicals. The agricultural policy of government had aimed to increase productivity. But several Christian farmers discovered it is very harmful for health and the ecosystem. They were convinced that this breaks the order of God’s creation. They committed to keep the integrity of God’s creation and established an organization named Jeong Nong Hoe(Right Farming Association) in 1976. On the other hand, the discussion of Life began in the field of social movement in the late 1970s. After several years, the Hansalim(han: great, salim: life-giving action) movement came out in 1984 in Wonju of Gangwon Province. The leader was Il Soon Jang and the famous poet, Ji Ha Kim. Rural parish pastors of three denominations, Methodist(1985), PCK(1987), and PROK(1989) made their organizations respectively. Their theological attitudes were progressive. They accepted Min Jung Theology and want to participated in the suffering of farmers. They supported farmers’ movements, fighting against the neo-military dictatorship and often demonstrating with the farmers. After 1987, the political democratic procedure had advanced. Rural parish pastors turned their concerns toward Life-Giving Agriculture(LGA) movement. In 1989, the organized LGA movement began at Ho Jeo rural church in Wonju. The leader was the pastor of that church, Kyeong Ho Han, who belonged to the PCK. He established the ‘Ho Jeo life cooperative’ with church members and village peoples. After that, many rural churches followed and participated in LGA movement, forming co-ops and communities. LGA movement includes several activities such as the advancement from conventional to life-giving technology, advancement from destructive to life-giving lfiestyle, promotion of locally grown agricultural products, and cooperation with urban peoples. Pastors of LGA movement know that the characteristics of modern civilization is destructive toward life, so the aim of LGA movement is not only the change of agricultural technology, but also the transformation of culture. Their tenet is, “without agriculture, no culture.” WCC has treated the Eco problem since the 5th general assembly in Nairobi(1975). In March of 1990, it held the JPIC(Justice, Peace, Integration of Creation) conference in Seoul. In April of 2005, the ecumenical organizations (WCC, WARC, WSCF, World YMCA, YWCA etc, organized Ecumenical Coalition for Alternatives to Globalization, ECAG) held the first global LGA forum for alternative globalization in Korea. They perceived the importance of LGA for alternative globalization and world mission. In August of 2006, the CCA held the first Asian LGA forum in Korea, cooperating with Korean Christian LGA Forum which was organised after the global forum. That the first Asian and global LGA forums started in Korea, and that the Korean forum is organized on the international level, are very important for LGA movement in the Korean Church. LGA movement is important for foreign mission. Human beings were created along with the earth by God. The earth is the basis of life. Humans must come back to the earth. Without agricultural products, humanity cannot live. It is important for Korean churches to change their traditional concepts and foster their life-giving spirituality. The confession to God “above the world” separated humanity the from nature. God is not only “above the world” but “in the world.” Church is the life-giving organization for all living creatures, like Noah’s Ark. The traditional slogan for evangelism is “Believe in Jesus Christ and Be Saved to Go to the Kingdom of God.” “Salvation theology” has ruled the Korean churches for a long time. They were concerned only about the salvation of human beings, not about other creatures. But now, “Creation theology” has to be preached and taught in the church. The balance between salvation and creation is needed. Rural villages have experienced rapid and great changes. Young farmers are decreasing, old farmers are dying gradually. As many foreign brides are coming to Korea in marriage and giving birth, the number of peoples returning to farms and rural villages from urban life are also increasing. Traditional rural villages are now obsolete. The responsibility of the rural church becomes heavy. Only the church has the potential power to integrate those complex differences. Rural pastors have to know that life-giving mission is very important for rural mission, and must have a hopeful perspective in building a “life-giving cultural community based upon LGA.” It is a movement to approach the kingdom of God. It will also be the process of recovering the true identity of the church.

한국어

21세기에 들어서면서 ‘생명’과 ‘평화’가 시대 정신으로 자리잡고 있다. 과학 기술의 발전을 토대로 하는 공업 중심의 도시 문명은 지구 생명 공동체의 지속 가능한 발전에 빨간 불이 켜지도록 하였다. 편리와 풍요의 댓가로 주어진 것은 생태계 파괴와 교란이 초래할 모든 생명의 공멸 가능성에 대한 불안과 공포심이다. 생명의 종교인 기독교는 여기에 답변을 내놓아야 한다. 예장 통합 교단은 2002년 ‘생명 살리기 10년’을 선포하였지만 아직은 구호에 그치고 있다. ‘생명’을 말함에 있어 중요한 것은 농업이다. 생존의 토대인 양식은 땅에서 나오며 그것은 농사를 통해서 얻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지금의 관행 농업은 ‘죽임의 문명’과 궤를 같이하고 있다. 농약과 화학 비료 중심의 농업은 노동력의 절감(편리)과 생산력의 증대(풍요)를 어느 정도 가져왔지만 땅, 작물(가축), 생산자, 소비자 모두를 죽이는 결과를 초래함이 현실로 드러났다. 이에 한국의 기독 평신도들과 농촌 목회자들은 하나님의 창조 질서에 부합하는, 생명을 살리는 농업 운동을 전개해 오고 있다. 1976년 평신도 중심의 단체인 정농회의 탄생을 시발로 많은 농촌 교회들이 이 생명 농업 선교에 참여하고 있다. 예장통합, 감리교, 기독교장로회 농촌 목회자들은 1980년대 중후반부터 농촌 목회자 조직(농목)을 결성하여 이 운동을 조직적으로 전개해 오고 있다. 일반 사회에서도 생활 협동 조합 운동 등을 통하여 전개하고 있으며 정부의 친환경 농업 정책에 힘입어 더욱 확대되고 있다. 그러나 일반적으로 대부분의 한국 교회는 아직 이 생명 선교 운동에 별 관심을 기울이지 않고 있다. 성장주의에 매몰되어, 기독교 본래의 가치인 생명의 문제는 도외시한 채 ‘영혼 구원’에만 초점을 맞추고 ‘오직 성장’을 향하여 질주하고 있다. 영혼 구원과 초월의 하나님만(above the world)을 믿는 신앙은 인간 이외의 타생명체들과 자연에 대하여 무관심한 인간 중심주의를 낳았고, 교회의 사회적 책임을 방기하도록 하였다. ‘만물 안에 계신’(in the world) 하나님을 보지 못하게 한 것이다. 그러나 세계 교회는 오늘의 죽임의 문명을 강화시키고 있는 신자유주의 경제 세계화를 정의롭지 못한 세계화로 규정하고 대안을 마련해 오고 있다. 생명 문제는 이미 1970년대부터 제기되어 왔으며 1990년 서울에서 열린 ‘정의, 평화, 창조 질서의 보전’(Justice, Peace, Integration of Creation) 대회를 통해 한국 기독교에도 널리 알려졌다. 이후 세계 에큐메니칼 진영은 대안적 세계화(alternative globalisation)를 모색하는 과정에서 생명 농업(Life Giving Agriculture)이 중요한 선교적 과제임을 발견하였다. 이에 2005년 4월 한국의 원주에서 ‘제1차 대안농업세계포럼’을 개최하였으며, 이에 자극받은 아시아기독교교회협의회(CCA)도 2006년 8월 한국의 홍성에서 ‘제1차 아시아기독교생명농업포럼’을 개최한 바 있다. 국내에는 세계 포럼 이후 ‘한국기독교생명농업포럼’(2005년 11월 창립)이 조직되어 이에 대응하는 활동을 해 오고 있다. 생명을 살리는 운동은 화급한 이 시대 최고의 과제이다. 영과 육을 동시에 살리고, 인간과 여타 생명체들을 함께 살리는 통전적인 구원관이 필요하다. 교회는 생명 모두를 살리는 ‘노아의 방주’이다. 교회 안의 인간만이 아니라 교회 밖의 인간과 모든 생명체들을 살려야 할 책임이 기독교에 주어져 있다. 생명 농업 운동은 생명 살림 운동의 가장 핵심적인 바탕이다. 농업을 떠나서 삶을 말할 수 없고 문화를 언급할 수 없다(Without agriculture, no culture). 이제 우리의 시각을 ‘생명’중심으로 바꾸고 생명 선교에 매진해야 한다. 인간 중심, 경제 중심의 옛 가치관에서 벗어날 때 죽임의 사탄은 서서히 물러가고 세상에게 생명을 주시기 위해 ‘생명의 떡’으로 오신 주님이 영광을 받으실 것이다.

목차

논문초록
 I. 들어가는 말
 II. 본론
  A. 한국 기독교의 생명 운동
  V. 성경적 입장에서 본 땅과 농사
  C. 생명 운동과 세계 에큐메니칼 진영의 흐름
  D. 생명 선교와 살림의 영성
  E. 농촌 선교와 생명 목회
  F. 생명 선교를 통한 해외 선교 전략
 III. 나오는 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한경호 Kyung Ho Han. 황성영락교회 담임목사, 21세기농촌선교회장, 생명농업포럼 대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