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르네상스 미술과 조선 초, 중기 미술품에 나타난 화훼 표현 방법 연구

원문정보

A Study on Mechanics of Express Flower in Art from Beginning, Middle Age of Chosen Dynasty and Renaisance Era

민희자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이 연구는 15〜16세기 미술작품에 표현한 화훼를 연구하여 동서양의 화훼 표현 방법을 살펴보는 데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한국에서 화훼화, 화조화가 발달하게 되는 조선 초기, 중기 미술과 서양에서 미술이 크게 발달한 르네상스 시대의 미술작품을 목적 표출하여 의미를 고찰하였다. 미술 관련 문헌들과 인터넷으로 검색할 수 있는 우피치 미술관, 피렌체 미술관, 국립중앙박물관, 고려대학교 박물관, 이화대학교 박물관 등에 소개된 미술작품 들 중에서 화훼를 다룬 작품들을 목적 표출하여 연구하였다. 이 연구의 결과, 조선 초․중기의 미술은 임금이나 사대부 등의 애호가들의 후원으로 화훼화, 화조화, 기록화 등이 발달하게 되고, 르네상스 미술도 귀족가문이나 애호가들의 적극적인 지원으로 종교화, 건축 조각, 건축 벽화 등이 크게 발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조사 연구한 결과 설정한 가설과 같이 아래의 사항들이 검증되었다. 조선 초, 중기의 화훼를 표현한 작품은 화조화 혹은 화훼화의 독립된 영역을 갖고 발달한 반면, 르네상스 시대의 화훼의 표현은 다른 종교화 혹은 신화의 주제를 상징하는 배경으로 발달한 것을 알 수 있었다. 미술작품에서 화훼의 표현 대상은 조선시대에는 주로 화훼류의 나뭇가지를 대상으로 한 것에 비하여 르네상스 시대에는 주로 꽃을 표현 대상으로 삼았다. 조선시대에 즐겨 그리던 화목류는 매화, 대나무 등 고목과 꽃피는 나무와 새 등을 선비의 기개, 절개 등을 의미하는 사의적인 그림을 즐겨 그렸으며, 서양은 종교적이거나 신화에서 주제를 상징하는 꽃들을 작품의 배경으로 그렸다. 조선 초 중기 미술가들은 화훼의 표현에서 주로 선과 여백을 표현하여 비대칭적 작품을 제작하였고, 르네상스 미술가들은 대칭적 구도와 양감이 있는 꽃 작품을 제작하였다. 조선 시대에는 주로 매병, 주병 등 단순한 백자 등의 화기를 사용하여 꽃을 꽂은 것을 미술품에서 볼 수 있고, 르네상스 시대에는 화려한 장식이 있는 화기들을 사용하였다. 조선시대 기록화에 많이 나타난 꽃 작품들에는 반드시 꽃병을 올려놓는 대의 역할을 하는 준화상에 작품을 놓았고, 르네상스 미술품에는 주제의 인물 앞이나 뒤의 선반 혹은 테이블 위에 꽃을 놓았다. 조선시대의 기록화에 나타나는 인물들의 일부는 머리에 꽃장식(戴花)을 하였으며, 밥상위에 꽃을 꽂은 모습을 그린 그림으로 보아 당시의 밥상에 꽃을 장식하는 것이 유행하고 있었음을 알 수 있었다. 르네상스 시대의 그림에서도 garland를 몸에 걸친 body flower를 찾아 볼 수 있었다. 또한 건축 조각에서 꽃줄이나 Festoon, Garland 등을 그린 것을 볼 수 있었다. 조선시대의 미술품은 먹을 사용한 명도 대비에 따른 작품이고, 르네상스의 화가들은 다양한 색채들을 사용하여 작품을 제작하였다. 서로 다른 지역의 미학과 철학의 차이와 문화의 차이로 서로 다른 표현을 한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러한 문화사를 연구함으로 현대 화예의 나아갈 길의 제시와 독창성을 기를 수 있음을 느꼈다. 앞으로 더 많은 세부적인 연구와 다양한 시대에 따른 동서의 차이를 연구하고, 그 연구가 기틀이 되어 독창적인 특성을 갖는 화예작품을 창작하고 알려서 한국 화예의 세계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목차

논문개요
 ABSTRACT
 I. 서론
  A. 연구의 필요
  B. 연구의 목적
  C. 가설의 설정
  D. 연구의 내용과 방법
 II. 이론적 배경
  A. 조선 초ㆍ중기 미술의 특징
  B. 르네상스 미술품에 나타난 화훼표현
 III. 조선 초ㆍ중기 르네상스 회화에 나타난 화훼표현 방법 비교
  A. 조선 초ㆍ중기 회화에 나타난 화훼표현
  B. 르네상스 미술품에 나타난 화훼표현
 IV. 미술품의 화훼표현 방법 비교
  A. 비교 기준
  B. 비교 결과 분석
 V.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민희자 MIN Hee-Ja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8,5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