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연구논문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에 대한 소비자평가 및 선호도 분석

원문정보

The Analysis of Consumer Evaluations and Prefernece for Health Claims on Processed Food

전상민, 여정성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study investigated a way of introducing the health claims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through collecting consumer evaluation and preference for health claims in order to provide consumers with accurate health information on food and assist them to properly choose food. The following results were obtained in the study. First, it was found that consumers would trust and often utilize health claims on food, if the health claims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is introduced. In addition, it was analyzed that the application of the health claims would raise consumers' level of knowledge on food. Second, consumers expected that food with health claims would have better quality than other food products. Thus, they said, they would willingly accept price increases caused by the application of the health claims. However, consumers who lacked health information were rarely expected to share the benefits generated by the introduction of the health claims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Consumer evaluations did not display any significant difference with regard to demographic variables. Third, the type of health claims on processed food preferred the most by consumers was the nutrient function claim, followed by reduction of disease risk claim. As for the content of the claims, they preferred food function related content the most and displayed little preference for an attention claim or caution claim. As for the size of the font used to write health claims, consumers preferred 12-point font and above. Fourth, the means of consumer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 preferred most by consumers was the surface of food products, followed by radio and TV broadcasting programs, and the government's advertisements in mass media. Consequently, in order to enhance consumer rights and prevent counsemr misunderstanding, functional content should be written accurately and briefly and cautous content should be compulsory. In addition, In order to raise the effects of consumer education, information should be provided when consumers purchase food products. In addition, health claims should be placed in a noticeable spot of the food package. Furthermore under the direction of the government, broadcasting programs should be utilized to allow consumers to acquire information easily and repeatedly. Consumers displayed little difference in the evaluations of the degree of use and utilization with regard to demographic variables. Therefore, consumer education and public relations need to access all of consumers at the beginning of the introduction of the health system that applies to processed food. Consumers who lack health information can hardly share the benefits of the introduction of the system, even when they are provided with information and education. In spite of their lack of health information, they still failed to recognize the necessity of health claims. Thus some measures should be taken for them. In order to allow them to share the health enhancing effects of the system, the minimum criteria for health claims should be set to enable them to select good quality food products though they fail to understand health claims.

한국어

본 연구는 소비자가 식품 건강 정보를 충분히 알고 올바르게 식품을 선택할 수 있게 하기 위하여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에 대한 소비자평가와 선호도를 분석하여 소비자지향적 제도 도입 방안을 검토하였다. 분석 결과, 첫째, 소비자는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제도가 도입될 경우, 건강강조표시를 자주 이용하고 신뢰하며 유용하게 활용할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소비자는 건강강조표시가 되어 있는 제품의 품질이 우위일 것으로 기대하였고, 건강강조표시로 인해 발생하는 가격 인상에 대해서도 높은 수용 의도를 보였다. 단, 건강 정보가 부족한 소비자는 가공식품 건강강조표시제도의 도입 효과를 공유하기 어려울 것으로 분석되었고, 인구통계학적 변수에 따른 소비자평가 차이는 유의하지 않았다. 셋째, 소비자는 가공식품 건강강조표시의 유형 중, 평소 익숙하게 접해왔던 영양소기능강조표시를 가장 선호하였고, 다음으로 질병위험감소표시를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표시 내용에 있어서는 기능성 내용을 가장 선호하였고 주의환기표시나 한도량과 같은 경고성 표시에 대한 선호도는 낮게 나타났다. 표시 형식에 대해 소비자는 주 표시 면에 12포인트 이상의 큰 글자로 표시하는 것을 가장 선호하였다. 넷째, 소비자가 선호하는 소비자교육⋅홍보 매체는 제품 표시 면과 언론매체의 방송 프로그램, 정부의 대중매체 광고 순으로 나타났다. 가공식품의 건강강조표시제도가 소비자권익 증진에 도움이 되기 위해서는 건강강조표시의 경고성 표시를 의무화하여 소비자 오인을 예방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가 정보를 필요로 하는 시점인 제품 구입 시 제공되어 교육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제품 표시와 소비자가 쉽고 반복적으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방송 프로그램을 활용해야 하고, 제도 도입 초기에는 모든 계층의 소비자를 대상으로 소비자교육과 홍보를 진행해야 한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이론적 배경
  1. 건강강조표시의 개념
  2. 건강강조표시제도의 국제적 추세
  3. 건강강조표시에 대한 선행 연구 고찰
 III. 연구문제 및 연구방법
  1. 연구문제
  2. 연구방법 및 절차
  3. 조사대상 자료의 일반적 특성
 IV. 분석 결과 및 논의
  1. 가공식풍의 건강강조표시에 대한 소비자평가
  2. 가공식품 건강강고표시제도의 도입 형태에 대한 소비자선호도와 관심도
 V.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전상민 Jun, Sangmin. 가톨릭대학교 소비자주거학과 강사
  • 여정성 Yeo, Jungsung. 서울대학교 소비자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5,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