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봉수의 옛지명과 현지명의 대조와 위성영상에서의 위치추정

원문정보

이기열, 홍완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한국어

봉수는 디지털 광파 무선통신의 원형으로 한국은 1419년(세종원년) 세계 최초로 5단위 신호체계를 채택하였다. 이 논문은 대륙 동녘반도(한반도 또는 조선반도)에 산재한 봉수터 지명을 1907년증보문헌비고1) 에 기준한 지명을 현대의 벡터지도에서 대조하여 위, 경도를 알아낸 다음 이를 위성지도에 표기하여 정리하려고 한다. 이는 해동8도봉화산 악지도(17세기 추정) 대동여지도(18세기)이후 작성된 최초
위성 봉수망 지도를 완한다. 이 논문은 이러한 절차와 방법에 대하여 논하고 대략의 지도를 완성하는 방법에 대하여 논하였다. 이 자료를 근거로 하여 후 남북녘 양쪽에서 정밀 위성 영상을 대조하거나 실제의 답사를 실사를 통하여 정밀 대조 후 완벽한 ‘남북 통합 봉화위성지도’를 완성하려 한다. 지도 완성 후 유적의 실태조사가 이루어지면 이를 남북 양 지역에 문화재 등록하는 한편 종국적으로 유네스코에 남북
공동으로 문화재 등록을 추진한다. 이로서 한국의 5단위 봉수신호가 현대 디지털 광파 무선통신의 시초임을 세계에 공인토록 한다 .

목차

초록
 1. 서론
 2. 고려의 봉수제도
 3. 조선의 봉수제도
  3.1 봉수의 종류
  3.2 거화(擧火) 방법
  3.3 도달시간
  3.4 봉수 관장(管掌)
  3.5 시설
  3.6 봉수군 구성과 상벌
  3.7 봉수망(烽燧網)
 4. 봉수제도 폐지

저자정보

  • 이기열
  • 홍완표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학술발표대회집, 워크숍 자료집 중 4페이지 이내 논문은 '요약'만 제공되는 경우가 있으니, 구매 전에 간행물명, 페이지 수 확인 부탁 드립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