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한국어
이 논문은 조선후기 역사소설에 그려진 일본인 형상의 양상을 제시분류하고 형상화의 의미를 분석한 글이다. 조선후기 역사소설에 그려진 일본인 형상은 16-17세기 동아시아적 경험과 기억의 일부로서, 이러한 형상에서 조선후기 한 작가 및 민중들의 역사의식과 내적 성찰을 읽어낼 수 있다.역사 계열 <임진록> 이본의 작가들은 비교적 역사적 사실에 근거하여 외적의 발흥과 군사행동을 인식하고 서술하였다. 하지만 작품의 뒷부분에는 구비설화의 상상력을 반영하여 사명당 정왜담(征倭譚)을 삽입함으로써 민족적 신화를 재현하였다.설화 계열의 <임진록> 이본에 나타난 일본인 상은 기본적으로 통속화된 역사, 문학적 유희의 산물이다. 풍신수길, 청정, 행장 등 일본 장수들은 단지 조선 측의 승리를 돋보이게 하는 기능적 존재이다. 따라서 이들의 형상에서 진지한 역사의식이나 성찰의 흔적을 찾아보긴 힘들다. 역사의식 및 내적 성찰의 면에서 <최척전>이나 <김영철전>, <강로전>에 그려진 일본인 상은 긍정적이다. <최척전>의 작가 조위한은 사실적 시각을 유지하며 조선의 여인에게 도움을 베푼 선량한 일본인의 형상을 그렸다. <김영철전>과 <강로전>에서는 항왜인(降倭人)들의 용맹과 충절을 그리며 강홍립의 투항과 대비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2. <임진록>에 형상화된 일본인상
2.1. 역사 계열에서의 풍신수길 및 일본 장수들에 대한 형상화
2.2. 설와 계열에서의 일본 장수들에 형상화
2.3. 왜왕의 형상화
3. <최척전>에 형상화된 일본인 형상
4. <김영철전>ㆍ<강로전>에 그려진 항왜인 형상
5. 조선후기 역사소설에 그려진 일본인 형상의 의미 -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1. 머리말
2. <임진록>에 형상화된 일본인상
2.1. 역사 계열에서의 풍신수길 및 일본 장수들에 대한 형상화
2.2. 설와 계열에서의 일본 장수들에 형상화
2.3. 왜왕의 형상화
3. <최척전>에 형상화된 일본인 형상
4. <김영철전>ㆍ<강로전>에 그려진 항왜인 형상
5. 조선후기 역사소설에 그려진 일본인 형상의 의미 - 결론에 대신하여
참고문헌
Abstract
키워드
저자정보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