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안개발사업으로 인한 갯벌매립의 효율적 저감방안

원문정보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for the Loss of Tidal Flat in Coastal Development Projects

맹준호, 홍재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idal flat, classified as wetland of coastal zone, is critical transitional zone connecting sea with land, and fulfills a variety of functions necessary for maintaining coastal ecosystem. Although it is critical to protect and strengthen its functions of coastal wetlands, tidal flat has been mainly viewed as areas for development in Korea. Therefore, this study provides with the effective mitigation measures so as to minimize adverse impacts of tidal flat reclamation projects on the proper environmental values. So far, coastal development has not considered as important
the fact that development site consists of tidal flat in site selection. Therefore, large scale of tidal flats was abused. Problems were emerged only after tidal flat development was already planned. The original plan had to be revised. To rectify the problem, impacts of development on the environment need to be discussed based on the initial development planning. Particularly, sandy beaches, rocky shores and shallow areas, underwater forest including seagrass beds as well as the tidal flat in good condition should be excluded from development site.

한국어

연안습지로 분류되는 갯벌은 육상과 해양을 연결하는 주요 전이대로서 다양하고도 고유한 생물상을 포함 하면서 필수적인 생태적 기능을 수행하고 있다. 우리 인간을 포함하여 주변의 생물들이 누려왔던 갯벌의 생태계 서비스 기능과 그것의 긍정적 효과를 유지 또는 강화하기 위해서는 갯벌의 보전이 매우 중요하나 국내의 경우 지금까지 보존보다는 개발이 우세하게 진행되어 왔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갯벌매립으로 인한 환경영향을 최소화할 수 있도록 해안개발사업으로 인한 갯벌훼손의 사례를 유형별로 분석하여 이를 토대로 저감방안을 수립하고자 하였다. 지금까지 해안개발사업을 추진하면서 입지선정단계에서 사업대상지가 갯벌로 구성되어 있다는 사실을 중요한 고려사항으로 인식하지 못하여 왔다. 이에 따라 1960년대 이래 우리나라 갯벌 면적의 거의 절반에 해당하는 갯벌이 매립되었고, 개발로 인해 주변 갯벌은 직􍾳간접적으로 훼손되었으며, 모든 계획을 수립한 이후 환경영 향평가의 협의단계에서 문제점이 지적되어 사업이 원래의 계획과는 다르게 수정해야 하는 경우도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사업을 계획하는 초기단계에서 갯벌 환경에 대한 고려가 우선적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특히 입지선정단계에서 해양환경이 양호하여 다양한 생태계 기능을 수행하는 갯벌 (펄갯벌 및 모
래갯벌)을 포함하여 암반 조간대, 사빈, 조하대 잘피숲 및 해중림 지역은 배제하도록 하여야 할 것이다.

목차

요약
 Abstract
 1. 서론
 2. 연구의 자료 및 방법
  2.1 갯벌매립사업의 유형별 특성분석
 3. 사업유형별 갯벌훼손 저감을 위한 방안
  3.1 항만 및 어항개발사업
  3.2. 산업단지 조성사업
  3.3 준설토 투기장 조성사업
  3.4 해안도로 건설사업
  3.5 도시개발사업
  3.6. 관광지 개발사업
 4.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맹준호 Maeng, Jun Ho. 한국환경정책 · 평가연구원 환경평가본부 · 연구위원 · 농학박사
  • 홍재상 Hong, Jae-Sang. 인하대학교 자연과학대학 생명해양과학부 해양과학전공 교수 · 이학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