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수시공시 정보의 특성에 따른 정보효과에 관한 연구 - 호재성 공시와 악재성 공시를 중심으로 -

원문정보

A Study on the Information Content of Timely Disclosure - Good News vs. Bad News -

강선미, 이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empirically examines the information content of timely disclosure by investigating the market's reaction to good news vs. bad news. The criteria for dividing timely disclosure items into "good news" or "bad news" are based on prior research and the researcher's subjective judgment. This study uses a sample of timely disclosure items that have been reported on the DART system of the Financial Supervisory Service (FSS) covering the period from 2001 to 2004. The results of empirical test are as follows. First, during the disclosure period the stock market reaction to good news showed significantly positive average excess returns measured by three return models; market model, market adjusted model, median adjusted model. This result supports the first hypothesis that good news leads to positive average excess return. Second, the stock market reaction to bad news is positive, contrary to expectation. This unexpected outcome might have been resulted from inclusion of "not-so-bad news" in the "bad news" category. Third, when relatively certain 223 'bad news' cases are additionally examined, the result showed negative average excess return. This result is consistent with the second hypothesis that bad news leads to negative average excess return. In other words, bad news has the information content in the stock market. The result also showed that the empirical test of market reaction to bad news highly sensitive to classification criteria for bad news. This study has some contribution by dividing timely disclosure items into good news and bad news, and empirically testing market reaction to disclosure according to this classification. However, this study has the following limitation. It excluded an ambiguous 3,154 cases such as the representative director change, general meeting of stockholder results etc. Therefore future study should focus on these ambiguous cases and further test the information content of these cases using more reasonable and sophisticated classification method.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01년 1월부터 2004년 12월까지의 기간 동안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비금융기업 중 12월 결산법인을 대상으로 금융감독원의 전자공시시스템(DART)에 공시된 일반 경영사항 관련 수시공시 표본으로 사용하여 수시공시를 호재와 악재로 나누어 각각을 사건으로 선정하여 각각의 초과수익률반응을 분석하였다. 실증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시공시 일을 0일로 하여 공시일 전(-1)과 후(+1)의 초과수익률 반응을 본 결과 호재성 공시에 대한 주식시장의 반응은 긍정적이었다. 3가지 초과수익률모형, 즉 시장모형, 시장조정모형 그리고 중위수 조정모형 모두에서 0일에 초과수익률의 평균값이 양(+)으로 나와 호재성 공시가 초과수익률과 양의 관계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 1을 지지하였다. 이것은 호재성 공시가 주식시장에서 정보효과를 지닌다고 볼 수 있다. 또 호재성 항목으로 분류된 항목들이 비교적 적절하다고 볼 수 있다. 악재성 공시는 세 가지 모형 모두에서 0일에 양의 값이 나타나 기대와 다른 결과를 보여줬다. 이러한 결과는 호재성 공시와 악재성 공시를 구분할 때 개입된 자의성 때문에 악재성 공시로 분류된 항목 중에 적절하지 못한 항목이 섞여있을 수 있는 가능성을 고려하여 연구자의 자의성이 배재된 비교적 확실한 악재성 항목 223건을 대상으로 추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1일에는 양(+)의 값이 나타났고 0일에는 세 가지 모형에서 음(-)의 값이 나타나 악재성 공시에 대해서 예상과 같이 음의 초과수익률을 보여주었다. 본 연구는 수시공시의 항목을 그 내용에 따라 ‘호재성 공시’항목과 ‘악재성 공시’항목으로 구분하여 수시공시 정보의 유용성을 실증분석 하였다는 점에 의의가 있겠다.

목차

요약
 I. 서론
 II. 우리나라 수시공시 제도의 현황
  2.1 수시공시규정체계
  2.2 수시공시사항의 규정방식
  2.3 수시공시위반에 대한 제제
  2.4 수시공시 제도의 운영체계
  2.5 외국의 수시공시사항제도 운영사례
 III. 수시공시에 관한 기존 연구 및 가설설정
  3.1 수시공시에 관한 연구보고서
  3.2 수시공시 전체의 유용성에 관한 연구
  3.3 개별 수시공시 항목에 관한 연구
  3.4 가설설정
 IV. 표본 및 연구방법
  4.1 표본선정
  4.2 연구방법
 V. 실증분석결과
  5.1 시장모형을 이용한 가설검증
  5.2 시장조정모형을 이용한 가설검증
  5.3 중위수조정모형을 이용한 가설검증
  5.4 추가분석
 VI. 결론 및 한계점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강선미 Kang, Sun-mi. 통계청 지역경제통계과
  • 이아영 Lee, A-young. 명지전문대 세무회계과 조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0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