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一般論文]

『浮休子談論』을 통해 본 成俔의 君臣論

원문정보

A Review on Seong-hyun(成俔)‘s Opinion of a Monarch and a Bureaucrat appeared in Buhyujadamron(浮休子談論)

『부휴자담론』을 통해 본 성현의 군신론

尹勝俊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 tried to reconstruct Seong-hyun(成俔)'s opinion of a monarch and a bureaucrat in this paper, based on his book Buhyujadamron(浮休子談論). He thought that the monarch was a ruler supposed to govern his country according to God's will. The monarch had to take Heaven for a model, follow God's will and respect it. Also he thought that monarch should be afraid of receiving a rebuke of God. The monarch had to try to find a capable man with much enthusiasm, and make him administer the affairs of states. Especially the monarch should be cautious of assignments, not to designate person uncapable. According to his opinion, the monarch should try to govern the states with benevolence and influence by virtuous examples in a long-term view. On the other hand, a bureaucrat had to endeavor to actualize his own scholarship. And he had the virtues like modesty, integrity, and keeping his social station. He had not be allowed to struggle with people for a profit. He intended and aimed to lead the monarch to be a sage King. Seong-hyun's opinion of a monarch and a bureaucrat was not different from the common view at those days. But he tried to put the political situations on a firm basis by presentation of his opinion on a monarch and a bureaucrat in Buhyujadamron.

한국어

본고는 󰡔부휴자담론󰡕에 보이는 君主와 臣僚에 대한 다양한 논의와 형상을 통해 成俔의 君臣論을 재구해 보고자 한 것이다. 성현은 君主란 하늘로부터 이치를 부여받아 하늘을 대신하여 다스리는 존재로, 하늘을 모범으로 삼고 하늘을 따르며 하늘을 공경하고 하늘을 두려워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賢者를 구하려는 간절한 정성을 가지고 있어야 하고, 현자를 임용한 뒤에는 의심하지 말고 政事를 맡겨야 한다고 하였다. 인재를 등용할 때는 小人을 등용하지 않도록 하되, 군주의 개인적인 好惡나 愛憎에 따르지 말고 物望에 따라야 한다고 하였다. 아울러 나라를 다스릴 때는 장기적인 안목을 가지고 인정을 베풀고 덕화를 베풀어야 한다고 하였다. 한편 신하된 자는 현실에 적용할 수 있는 實學에 힘써야 한다고 하였다. 그리고 名利를 탐하기보다 謙讓과 淸廉, 安分의 덕목을 갖추어야 하며, 백성과 이익을 다투어서는 안 된다고 하였다. 또한 군주를 인도하여 聖君이 되도록 하여야 할 책무를 가지고 있다고 하였다. 󰡔부휴자담론󰡕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성현의 군신론은 성리학을 기본 이념으로 하고 있던 당대 사대부들이 보편적으로 가지고 있었던 군신론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성현은 君權과 臣權이 대립하던 15세기말 16세기초에 君君臣臣의 秩序를 확고히 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당대의 보편적인 군신론을 우언집 󰡔부휴자담론󰡕에 담았다고 하겠다.

목차

국문초록
 I. 序論
 II. 本論
  1. 君主論
  2. 臣僚論
 III. 結論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尹勝俊 윤승준. 단국대학교 인재개발원 교육조교수, 韓國古典文學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