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特輯] 발해만의 역사문화와 동아시아

登州를 중심으로 한 渤海와 東아시아의 交流

원문정보

The Intercourse between the kingdom of Balhae(渤海) and the East Asia in Tengzhou(登州)

등주를 중심으로 한 발해와 동아시아의 교류

金恩國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kingdom of Balhae(渤海) evolved several intercourse with neighbouring countries through administrative organization 5 Gyoeng(京) 15 Boo(府) 62 Joo(州). Yingzhou(營州) and Tengzhou(登州) are capital region. Through the existence of Silla-gwan(新羅館) and Balhae-
gwan(渤海館) in Tengzhou(登州), we can guess there was group residences of Silla(新羅) and Balhae(渤海) people at that period. Tengzhou(登州) was the point of politic, economic, militery, culture in Shandong peninsula(山東半島), also it was the ancient port that has thousand history. This article is pointed to the economy of ocean in the region of Balhae bay. Through the share of Silla(新羅) and Balhae(渤海) people in Tengzhou(登州), I'll look over the aspect of East asian's Intercourse, for example, the military of ocean, the attack against Tengzhou(登州) in period of King Moo(武王). The attack against Tengzhou(登州), happened in 732 A.D., was the problem of Heishui-mohe(黑水靺鞨) but also the importance of geopolitical meaning. Furthermore, that incident occured in power-balance of the political change in East Asia including nippon(日本), Silla(新羅) and the Tang dinasty(唐). So, that attack has variety of opinion but eventually the point was the Balhae(渤海) and Balhae(渤海)'s maritime force. The attack against Tengzhou(登州) was possible that Balhae(渤海) already secured Liaodong(遼東). What is called Tengzhou road(登州道), that connected to Tengzhou(登州), was intersection of Silla(新羅) and Balhae dinasty(渤海). Until now, Silla(新羅) and Balhae(渤海) dinasty were antagonistic to each other, but now it is necessary to show off active intercourse of the two countries. The brilliant port, Tengzhou(登州) is located in the east-end of the ancient silkroad. I confirmed the aspect of intercourse that the Balhae's(渤海) economy of ocean and progress was the sharing of East Asia including Silla(新羅) and Balhae(渤海), and also the Tang dinasty(唐).

한국어

발해는 5경 15부 62주의 행정체제를 통해 주변국들과 다양한 교류를 전개해 왔다. 營州와 登州는 대표적인 중심 지역이다. 등주에 설치된 新羅館과 渤海館의 존재를 통해서, 당시 등주에는 신라와 발해인들의 집단 거주지가 있었다. 登州는 산동반도의 정치, 경제, 군사, 문화의 중심을 이루며 천년 역사를 지닌 고항구로서 현재까지 이른다. 발해만 지역에서의 발해 해양경영과 관련하여 이 글에서는 등주를 중심으로 한 신라와 발해인의 공유를 통해서 동아시아인의 교류의 양상을 대외교통로와 해양 군사력, 무왕 대에 일어난 등주 공격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732년 일어난 무왕의 당 등주 공격은 단지 黑水靺鞨 문제만은 아니었으며, 登州가 지닌 지정학적 위상의 중요성 위에, 일본, 신라, 당이라는 발해 주변의 동아시아 정세의 역학구도 속에서 발생하였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그래서 발해의 등주 공격과 그 성과에 대해서는 견해가 다양하게 나오고 있지만, 결국 그 중심은 발해와 발해의 해양력이라 할 수 있겠다. 아울러, 등주 공격이 가능한 것은 발해가 이미 요동을 확보하고 있었다는 점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등주로 연결되는 이른바 登州道는 발해와 신라 간의 共有路를 이룬다. 지금까지 신라와 발해는 대립 일변도의 성격으로 규정되어 왔던 것이라 할 수 있다. 이제는 보다 양국 간이 적극적인 교류 양상을 부각시킬 필요가 있겠다. 한국과 일본을 바다 건너에 둔 중국 고대 해양실크로드의 東端의 유수한 항구인 등주를 통해 살펴본 발해의 해양경영과 전개는 신라와 발해, 나아가 당을 포함한 동아시아 공유의 교류양상을 확인하였다.

목차

국문초록
 1. 머리말
 II. 대외교통로와 해양 군사력
  1. 해양을 통해 본 발해의 대외교통
  2. 등주와 발해 해양력의 변화 추이
 III. 발해 武王과 登州
  1. 무왕의 대외정책 방향
  2. 登州 공략의 遼東
 IV. 맺음말
 參考文獻
 Abstract

저자정보

  • 金恩國 김은국. 東北亞歷史財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