원문정보
초록
영어
This study has been performed to understand how a regular practice applying generally pursued modern dance practice methods influences various parameters. To that end, a group of 24 students majoring in Modern Dance at H University were selected. These students in turn were divided into (Class A and Class B. In the meantime, Class A was subcategorized into Class A: Floor Exercise+Bar Exercise and Class A C: Bar Exercise+Floor Exercise, and Class B into Class B: Floor Exercise+Bar Exercise and Class B: Bar Exercise+Floor Exercise) For the period of 12 weeks, the effect of practice using given practice methods on body composition, cardiorespiratory function and stress hormone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actice each
time. The results are summarized as follows; Given all the test results, it can be found that practice period, practice methods and student capability influence cardiorespiratory function in a positive way while any significant effect was not measured in terms of body composition and stress hormone.
한국어
본 연구는 현대무용연습방법에 따른 규칙적인 무용수행이 측정변인들에 미치는 변화를 알아보기 위해 H대학교 현대무용전공 24명의 여학생을 실험대상으로 두 집단 A Class와 B Class로 분류하여 무용연습 전․후 12주간 측정하였고 신체구성, 심폐기능, 스트레스 호르몬의 프로그램 적용 전․후의 변화양상을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무용연습지속시간은 (10+30+10+30+10)으로 하고 연습시간은 총 90분으로 주 4회를 일정하게 하였다. 12주간 일정하게 무용연습프로그램을 하여 전과 후의 신체구성을 측정하여 최대운동검사에 의한 심폐기능측정을 하였다. 무용연습 방법 그룹별(A Class와, B Class로 나누고, 다시 A Class: Floor Exercise+Bar Exercise, A Class: Bar Exercise+Floor Exercise, B Class: Floor Exercise+Bar Exercise, B Class: Bar Exercise+Floor Exercise)로 나누어 무용연습 전, 무용연습 12주 후의 신체구성, 심폐기능 및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를 알아본 결과 무용연습기간, 방법, 기량에 따른 심폐기능면에는 약간의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고 볼 수 있으며 무용연습기간, 방법, 기량에 따
른 신체구성과 스트레스호르몬에는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목차
Abstract
서론
연구 방법
1. 연구 대상
2. 실험절차 및 측정방법
3. 자료 처리
연구 결과
1. 그룹별 현대무용수행기간에 따른 신체구성, 심폐기능, 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
2. 현대무용연습방법에 따른 신체구성, 심폐기능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
논의 및 제언
1. 현대무용수행기간, 연습방법, 연습기량에 따른심폐기능의 변화
2. 현대무용수행기간, 연습방법, 연습기량에 따른신체구성의 변화
3. 현대무용수행기간, 연습방법, 연습기량에 따른스트레스 호르몬의 변화
참고 문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