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무용역할학습 유형 및 정도와 진로탐색행동의 관계

원문정보

Relationships between type and degrees of dance role learning and

태혜신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between type and degree of dance role learning and career exploration behavior, level of career decision, decision-making style, but was also to offer the basic data in order to understand specific characteristics of career, and provide academic and career counseling for the university students who are majoring dance. The students on 39 universities with dance curriculums were set as a population, and then 1232 students of samples were chosen for the final analysis. The conclusion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Students majoring in Korean traditional dance showed reasonable and intuitional decision-making procedure, on the other hand, students majoring in ballet showed 3 types of decision-making procedures. Moreover, students participated in 4 or 5 times of performance per a year showed more dependent, intuitional decision-making than any other students, as well as students with over 4 hour of practice showed high score on the 3 types of decision-making. On the level of decision making and the search for career based on the types and degrees of role learning of dance, students majoring in Korean traditional dance showed the higher level of convince for one's career than students majoring in ballet and modern dance. The more the number of participation in performance, the higher the level of convince for one's career. The more practice time at once students have, the higher the level of convince for one's career. 2 dimensions of career exploration behavior was high as well.

한국어

본 연구의 목적은 무용전공 대학생을 대상으로 무용역할학습 유형 및 정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 진로결정수준, 진로탐색행동 변인들 간의 관계를 실증적으로 규명하는데 있다. 2006년 전국의 4년제 대학 39개교에 재학 중인 무용전공 학생 1232명을 연구대상으로 설문지를 사용하여 신뢰도분석과 일원변량분석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진로의사결정유형은 한국무용전공자는 직관적이고 합리적인 의사결정 과정을 따르는 반면, 발레 전공자는 세 가지 유형의 의사결정과정을 모두 표출하고 있었고, 연 4~5회 정도 공연에 참가하는 무용전공자가 다른 집단보다 의존적이고 직관적인 의사결정을 하고 있었으며, 4시간 이상 연습하는 무용전공자는 세 가지 차원의 의사 결정유형이 모두 높았다. (2) 진로결정수준은 한국무용 전공자가 현대무용이나 발레 전공자에 비하여 전공 및 직업선택에 대한 확신 수준이 높았고, 공연출연횟수가 많을수록 직업선택확신이 높고 무용경력이 6~10년인 무용전 공자의 진로미결정이 적었으며, 1회 연습시간이 많은 전공자일수록 전공 선택에 대한 확신은 높은 반면 진로미결정은 적었다. (3) 진로탐색행동은 한국무용 전공자가 현대무용이나 발레 전공자에 비하여 자기탐색행동이 높았고, 공연출연횟수와 1회 연습시간이 많을수록 직업 및 자기탐색행동이 높은 반면, 무용경력에 따른 직업탐색행동의 차이는 없었다.

목차

요약
 Abstract
 서론
 연구방법
  1. 연구대상
  2. 연구도구
  3. 조사절차 및 자료처리
 결과분석
  1. 무용역할학습 유형 및 정도와 진로의사결정유형의 관계
  2. 무용역할학습 유형 및 정도와 진로결정수준의관계
  3. 무용역할학습 유형 및 정도와 진로탐색행동의관계
 논의 및 결론
  1. 논의
  2. 결론
 참고문헌

저자정보

  • 태혜신 Tae, Hye-Shin. 한양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6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