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해양심층수 비누의 감성체험적 수용에 관한 선호도 연구

원문정보

Soap Rating on the Acceptance of Deep Ocean Water Research Emotional Experience

김진영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research, especially among facial cleansing foam marine functional soap centering on a deep ocean water utilization five sensation observe what I saw. The respondents colors, smells, the feeling against the skin rather think it's important that shows up and appearance,
sound is a relatively important do not have been investigated. Soap awareness about the appearance of soap on a deep ocean water sui표 for marine, 42 percent preferred a response like soap, blue square. 34 percent of respondents favor a transparent soap boxers in round
grains. About 76 percent of respondents recognized the color is white and blue in the same survey was preferred.
Favorite (the smell) is a scent of the sea is around 50 percent. 42 percent feel the feel of wet, soft 34 percent majority of respondents feel that the traditional soap moisture percent preferred features.
Product development and design, the shape is the preferred form of conservative and traditional box style, intense colors are blue, white and clean image, a favorite scent of the ocean research and the development side of the profits, and feel the touch of the traditional soap feels
moisture.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미네랄이 풍부한 해양심층수라는 바다자원으로 만든 비누의 감각적 접근을 위한 기초자료 수집에 그 목적이 있다. 신자원에 의한 제품에 대하여 수용자는 어떤 감각에 주로 의존하며 또한 어떤 감각에 대하여 부정적인지 알아보고자 하였고, 두드러지게 반응하는 감각에 대하여 차후 제품생산에 대하여 참고적인 조사를 하고자 하였다. 아울러, 고객의 반복구매를 이끌어 내기 위한 감각 수용의 중요도와 선호도를 실증분석 하였다.
해양심층수 비누 어울리는 선호 모양에 대한 인식에서 42%의 응답자기 파랑 사각 비누를, 34%의 응답자가 둥근 알갱이가 내제된 투명한 사각 비누를 선호하며 다른 입체 비누보다 월등한 것으로 나타났다. 색상에 대한 인식에서 76%의 응답자가 흰색과 파랑색을 똑같이 선호하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선호하는 향(냄새)은 바다 향기가 50%로 가장 많았다. 감촉은 촉촉한 느낌이 42%, 보들보들한 느낌이 34%로 대다수의 응답자가 비누의 전통적인 보습기능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제품개발과 디자인 제작 시, 선호모양이 보수적이고 투박한 형태의 사각형, 색상은 강렬한 파랑이나 깨끗한 화이트 이미지, 선호하는 바다향기를 연구하여 개발하는 편이 유리하고, 감촉은 기존의 비누에서 느끼는 보습느낌을 담아야 한다.
피해야 할 부분은 다양한 재미를 줄 수 있는 형태는 제품의 기능에 대한 신뢰도를 떨어뜨릴 수 있다고 추론된다. 그리고 따뜻한 계열의 색상 적용은 확실한 응답자의 의사로 미루어 보아 거부감이 작용할 것으로 보인다. 전혀 어울리지 않는 과일향기 등은 제품 구매 시 거부감으로 작용할 수 있으며, 비누 감촉이 주는 느낌에 색다른 느낌이 생겨날 경우 좋지 않은 느낌을 전달할 수 있을 것으로 보여 진다.

목차

초록
 Abstract
 1. 서론
  1.1 연구의 배경 및 목적
  1.2 연구의 범위 및 방법
 2. 이론적 배경
  2.1 체험마케팅의 개념
  2.2 체험마케팅의 특징
 3. 연구방법
  3.1 자료 표본 수집
  3-2. 변수의 조작적 정의
 4. 연구결과
  4.1 감각의 중요도 측정
  4.2 감각의 선호도 측정
 5. 결론
  5.1 연구의 요약
  5.2 연구의 한계 및 제언
 참고문헌

저자정보

  • 김진영 Kim Jin Young. 협성대학교 시각디자인학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4,2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