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칭칭이소리의 사설 구성과 기능 분화

원문정보

Words organization and Function specialization of the Chingchingisori

최자운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paper analyzed the words of the Chingchingisori(칭칭이소리).
Through the comparison with Sanajitaryung(산아지타령) in Honam province, bring into relief the distinctive feature of this song. When weed a rice paddy, entertain and finish working in field Chingchingisori wes sung. This song is created Jangwonjilsori(장원질소리) in Gyeongsangbuk-do south area. After weed a rice paddy coming back home Jangwonjilsori sung. This song
closer labor than play. Because this songs have complex character, from this song differentiated labor song in Gyeongsangbuk-do and amusement song in East area.
Chingchingisori which sung by female singer in Gangwon Province is superior to words organization. Although they sing their own experiences did not get herself absorbed in the song. Because they song by round in exciting circumstances continue singing long time. The Male and Female singer of the Chingchingisori owe a funeral bier song. Male singer song funeral bier song by an acting similarity. But Female singer song by the meaning similarity. Through this discussion we can debate the folk song interchange between Gangwon province and yungsang provibce.

한국어

이 글에서는 여러 가지 기능을 담당하는 칭칭이소리의 사설을 분석한 뒤 호남지역 산아지타령과의 비교를 통해 이 소리의 생성과 기능 분화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우리나라 동부지역을 중심으로 논매는 소리, 장원질소리, 가창유희요로 불리는 칭칭이소리는 경북 남부지역 장원질소리에서 생성되었다. 논매는 일을 모두 마치고 집으로 돌아갈 때 부르는 장원질소리는 노동요보다는 유희요에 가깝다. 이러한 장원질소리의 복합적 성격으로 인해 경북지역 노동요와 경북을 포함한 경남, 강원지역의 유희요로 분화될 수 있었다. 강원지역의 여성가창자들이 가창유희요로 부르는 칭칭이소리는 전체 칭칭이소리 중 사설 구성이 가장 뛰어나다. 그들은 기존 소리에 자신이 직접 겪은 일 등을 넣어 부르면서도 자신의 감정에 몰입하지 않았다. 이유는 이 노래가 흥겨운 분위기 속에서 여러 사람들이 돌아가며 노래하기 때문이었다. 남녀 가창자별 사설 구성의 차이는 상여소리를 차용하는 것에서도 나타나는데, 남성가창자는 장원질소리에서 이동이라는 행위의 유사성에 기반하여, 여성 가창자는 다 놀고 헤어질 때 이별이라는 의미의 유사성에 의해 칭칭이소리 바탕에 상여소리를 차용하였다. 본 논의를 바탕으로 앞으로 강원과 영남지역, 그리고 영남과 호남지역 민요 교류의 양상을 보다 명확히 이해할 수 있다. 민요의 지역간 흐름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전국적으로 분포하기 보다는 그 지역에만 존재하는 자료들을 대상으로 삼는 것이 효과적이다. 예컨대 칭칭이소리는 영남지역에서 강원지역으로의 영향이 포착되는 반면, 여성 구연민요 중의 하나인 다복녀민요는 강원지역에서 영남지역으로의 영향이 감지된다. 어떤 과정을 통해 인접지역으로 교류되고 그 요인이 무엇인지 해명해야 한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칭칭이소리의 기능별 사설 구성
  1. 논매는 소리
  2. 장원질소리
  3. 가창유희요
 Ⅲ. 호남지역 산아지타령과의 비교
 Ⅳ. 칭칭이소리의 생성과 기능 분화
 Ⅴ. 결론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최자운 경기대학교 강사). 경기대학교 강사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6,7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