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정언묘선』의 풍격과 栗谷의 詩道

원문정보

A study of the poetic style in Jeongunmyoseon and Yulgok's creation / Cho Keyyoung

『정언묘선』의 풍격과 율곡의 시도

趙麒永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Yulgok's point of view in his literature and poetic world in Jeongeunmyoseon(精言妙選). The contemporary writings is very little ability, as Tao(道) put to good use utilize for literary composition, without a decoration, It to be the elegant prose or extreme sentence and make an impression.
He emphasized the importance of Tao(道), insist on the contemporary writings express tangibly the Tao. He uses several terms to explain his views on the relation of Tao and literature. It is the relative importance of the Tao and writings(道本文末), that is the means and the end for the mutual effect of enlightenment and moral cultivation.
He cut a conspicuous figure in a fineness selection of poems as presented in Jeongeunmyoseon(精言妙選), that included his poetic viewpoint and poetic fondness. It is based on the poetic style of a distinctive quality(풍격), that is characterized by a moral sense and effective value and an adequate expression. The first, He pursue a freedom from avarice and tranquility in poetic world
(沖澹蕭散). The second, He long for a quietness and tranquil life in poetic world(閒美淸適), that is live in easy retirement. The third, He watch with deep concern a new and fresh style in poetry(淸新灑落). The fourth, He give attention to a creative activity carefully arranged and a profound intention of a creative work(用意精深). The fifth, He prefer to a great emotion and a lofty aspiration in poetic world(情深意遠). The sixth, He point to neatness and wholesome in rules of versification and poetic language(格詞淸健). The seventh, He head for exquisiteness and gracefulness in a rhetorical device and a decoration(精工妙麗). It is embellish one’s style and polish up a sentence, but 116 東洋古典硏究 第31輯 is not make outward show and keep up appearances. The last, He pursue an sagacious and intelligent reason in poetic world. He study the philosophy of a propriety in the world.

한국어

율곡은 도가 구현된 것이 글이며, 글은 도를 꿰뚫는 그릇이라고 보았다. 이에 율곡의 시관은 ‘시본성정(詩本性情)’의 성정론, ‘관도지기(貫道之器)’와 ‘문이형도(文以形道)’의 도본론(道本論)으로 정리되었다. 율곡은 38세인 1573년에 시선집인 『정언묘선(精言妙選)』을 만들었다. 중국의 시 가운데 가장 뛰어나고 아름다워 시도(詩道)의 모범으로 삼을 만한 작품들을 가려 뽑아 8편으로 만들었다. 이에 충담소산(沖澹蕭散), 한미청적(閒美淸適), 청신쇄락(淸新灑落), 용의정심(用意精深), 정심의원(情深意遠), 격사청
건(格詞淸健), 정공묘려(精工妙麗)라는 풍격을 위주로 하여 시작품을 정선하였다.
첫째, 충담소산(沖澹蕭散)이란 아무런 욕심이 없는 깨끗한 것이며, 어디에 구속됨이 없이 자연스럽고 편안한 경지를 말한다. 따라서 많은 사람들이 충담소산(沖澹蕭散)한 풍격 및 의취를 『시경』3백편 외에 도연명의 시에서 볼 수 있다고 여겼으며, 율곡도 여기에 도연명의 시를 가장 많이 실었고, 다음으로 위응물의 시를 많이 실었다. 둘째, 한미청적(閒美淸適)한 풍격은 조용하고 침착하며 스스로 흡족하게 여기는 삶 속에서 흥에 겨워 표현된 것으로 이 시작품을 읽게 되면 심기가 저절로 화평하게 된다고 하였다. 율곡은 욕심 없이 한가롭게 유유자적하면서 사는 평화로운 삶의 경계를 동경하여 한미청적(閒美淸適)한 풍격을 선호했던 것으로 보인다. 셋째, 청신쇄락(淸新灑落)은 세속적 가치를 초탈하여 물욕에 얽매이지 않는깨끗함을 말한다. 매미가 허물을 벗듯이 속기를 떨쳐내며, 맑은 바람을 쐬고 이슬을 마시듯이 매우 고상하여 세상 사람의 입에서 나온 것 같지 않다고 하였다. 넷째, 용의정심(用意精深)이란 뜻의 운용, 곧 시어의 설정 및 시적 구성이 정미(精微)하고 심오(深奧)한 것을 위주로 하는 것이다. 따라서 글귀와 시어가 단련되고 품격과 운도(韻度)가 엄정하며, 매우 작은 것조차 찾아내고 깊숙한 경계도 볼 수 있어 생각이 저절로 천박하지 않게 『정언묘선』의 풍격과 栗谷의 詩道 87되는 효과가 있다고 하였다. 다섯째, 주제를 설정하고 구상을 전개함에 있어 ‘정심의원(情深意遠)’한 것을 위주로 하였다. 그리고 ‘원이불패(怨而不悖)’하고 ‘애이불상(哀而不傷)’하는 전통적인 시도를 제시하였는데, 이는‘성정지정’에 의거하고 온유돈후한 시교(詩敎)를 지향했음을 의미한다. 여섯째, 격사청건(格詞淸健)은 필력이 씩씩하고 굳세되 급하게 다그치는 뜻이 없으며 엄정하고 심원한 맛이 있다고 하였다. 다만 격사청건(格詞淸健)
한 작품을 위주로 하였다고 하여 격조와 사치의 청건(淸健), 곧 맑고 건장한 형식미를 통하여 내용미가 승화되는 풍격임을 알 수 있다. 일곱째, 정공묘려(精工妙麗)는 비록 아로새기고 색칠한 꾸밈이 있으나 도리에 어긋나고 겉만 아리따운 데에는 이르지 아니하였다고 하여 형식적인 면을 고려한 풍격임을 나타냈다.
그리고 마지막 「지자집」은 율곡의 󰡔정언묘선󰡕}서문이나 박세채의 글을 참고로 하여 어느 정도까지 상정할 수 있다고 보았다. 이에 명도(明道)하고 이아(爾雅)한 내용이라면 『염락풍아』에 실린 작품의 유형과 크게 다르지 않을 것이라고 보았다. 그리고 이는 도본문말(道本文末)과 성정지정에 근거하는 율곡의 시관에서 벗어나지 않으며, 율곡 또한 명도적인 내용이나 철리적인 의경을 추구하여 이러한 시도의 양상이 그의 시세계의 일면이 되었고 보았다. 결국 율곡의 명도적이고 철리적인 시세계가 󰡔정언묘선󰡕의 마지막 「지자집」의 내용과 무관하지 않았을 것이다

목차

논문 요약
 Ⅰ. 서론
 Ⅱ. 『정언묘선』의 풍격과 시도
  1. 충담소산(沖澹蕭散)
  2. 한미청적(閒美淸適)
  3. 청신쇄락(淸新灑落)
  4. 용의정심(用意精深)
  5. 정심의원(情深意遠)
  6. 격사청건(格詞淸健)
  7. 정공묘려(精工妙麗)
 Ⅲ. 결론
 참고 자료
 Abstract

저자정보

  • 趙麒永 조기영. 충북대 우암연구소 전임연구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기관로그인 시 무료 이용이 가능합니다.

      • 7,300원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