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의 학습 교재에 대한 연구

원문정보

The study of history textbooks' materials in Japan's secondary schools

권오현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In this study, history textbooks in Japan's secondary schools were analyzed in terms of
regional material, methodology material, advanced materials, and reading materials. Their
key features and problems were then identified. Lastly, based on these findings, the directions for improvements and implications were discussed. These are as follows: First, regional materials aim at the mastery of studying method in history and at the concrete study of national history. However, the development of regional materials is deemed necessary in order for learners to build the identity as local residents and to better understand their region. Further, the coverage of content, region, and method should be done in a balanced manner. It is also suggested for the materials to include a model case study and a research project in which learners can carry out a study on their region.
Second, methodology materials should include various studying methods and skills for history education, so that it can be learned systematically. Reading comprehension of historical material should be facilitated by providing detailed comprehension methods and steps. Also methodology materials should provide students with explanations on studying methods, question, in what ways activities can be performed. These can be supplemented by accompanying model activities.
Third, advanced materials should contain topics or themes that can be dealt with in various historical perspectives. The advanced materials associated with world history might be developed in line with national history, synchronic and contemporary historical recognition. Moreover, the themes such as human right, peace, and environment might be considered to stimulate advanced learning.
Last, the material designers should be aware that: reading materials contain common, interesting, real-life based topics so that learners can gain well-grounded historical perspectives in an engaging way. The designers also should make their pedagogic purposes and intentions explicit from the outset of materials development. This way, they will be able to develop materials in a sound and systematic manner.

한국어

본 연구에서는 2006년판 일본 중학교 역사교과서에 등장하는 4가지 유형의 학습 교재(지역 학습교재, 학습방법교재, 심화학습교재, 읽기자료교재)를 분석하여 그 특징과 문제점 등을 해명하였다. 그 결과를 토대로 개선 방안과 시사점을 제시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지역학습교재는 역사 학습 방법을 습득하고 국가사를 구체적으로 학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하지만, 지역민으로서의 정체성을 형성하고 지역에 대한 이해를 심화하기 위한 교재의 개발도 필요하다. 그리고 지역학습교재에서 다루는 대상, 지역, 방법 등은 적절히 배분하여 구성하는 것이 요구된다. 구체적인 모델 활동 사례와 함께, 학습자가 살고 있는 지역을 대상으로 한 조사 과제를 제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둘째, 방법학습교재는 역사학습에 필요한 다양한 학습 방법과 기능들을 체계적으로 학습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배분하는 방안이 요구된다. 역사 자료의 독해 방법을 학습하기 위한 교재는 구체적인 독해 방법과 절차 등이 제시되어야 한다. 방법학습교재는 학습방법에 대한 설명만이 아니라 구체적인 자료와 발문, 학습 활동 등과 함께 제시하거나, 모델 학습 활동 사례를 활용하여 개발하여야 한다.
셋째, 심화학습교재는 역사를 다양한 관점에서 인식할 수 있고, 역사를 보는 시각도 다양하다는 사실을 인식시킬 수 있는 주제를 선정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세계사와 관련된 심화학습교재는 자국사와의 관련, 동시대사적 인식, 현재와의 관련 등의 관점에서 개발할 수 있다. 아울러 인권․평화․환경 등과 관련된 주제를 심화 학습에서 적극적으로 도입하여 활용할 필요가 있다.
넷째, 읽기자료교재는 다양하고 공정한 관점의 역사 인식이 가능한 주제를 대상으로 선정하여야 하며, 가능한 학생들의 생활과 밀접하고 흥미와 관심을 끌 수 있는 교재가 될 수 있도록 유의해야 한다. 교과서의 설계 단계에서부터 읽기자료교재를 선정하기 위한 관점과 교육적 의도를 명확히 하고, 그에 따라 교재를 유형화하여야 한다.

목차

<< 내용요약 >>
 Ⅰ. 서론
 Ⅱ. 학습 교재의 특징과 시사점
  1. 지역학습교재
  2. 방법학습교재
  3. 심화학습교재
  4. 읽기자료교재
 Ⅲ. 결론
 <참고 문헌>
 

저자정보

  • 권오현 Kwon, Oh-Hyun. 경상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