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타자인식 변화에 따른 다문화 준거의 변화

원문정보

Different Understandings of "the Other" and Their implications to Multicultural Education

이종일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We have recently witnessed an expansion of research interest by social studies educators
around the pedagogical issues of multicultural education in Korea. But changing conceptions of "the other" and their social causes have attracted little attention of researchers, in relation to multicultural education. This paper aims at a richer understanding of multicultural education based on the socio-historical understanding of "the other."
In the traditional society people seldom made contact with outsiders beyond their group boundary. The outsiders were hostile entities to be distanced from, and conquered if necessary. The concept of "the other" was born, however, when, with the advent of Great Navigation age, people made frequent contacts with outsiders of different racial and cultural traditions. The other was no longer something to be approached solely from insider-centered perspective; other peoples were partners of cultural as well as commercial transactions.
This paper has roughly two parts. First, the changing conceptions of "the other" from internationalism, multiculturalism, to globalism will be traced, along with the expansion of
life-space from the traditional society to the society of Great Navigation age. And next, an
understanding of "the other" most appropriate to our social studies education will be search for, by way of examining four models of understanding of "the other" in American social studies curriculum, reflecting 20th century changing American society.

한국어

최근 들어 사회과 연구자들에 의해 다문화 교육과 관련한 수업방법과 그 실천에 관한 연구는 어느 정도 축적되고 있지만, 다문화 교육의 핵심이 되는 ‘타자’에 대한 인식변화의 원인이나, 앞선 시기 미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다 문화 준거기준 변화에 대한 연구는 등한시 되어 왔다. 필자는 타자 인식변화의 원인을 사회사적 접근에서 찾음으로써 다문화 교육의 준거를 구체화하였다.
전통사회에서 사람이 살아가는 공간은 자신이 일상 속에 만나는 내집단과 일치하였고, 그 결과 내집단을 벗어난 지역에 사는 외집단 문화를 이해하지 않아도 살아가는 데 아무런 지장이 없었다. 그래서 전통사회 사람들은 자신이 속한 내집단 문화를 준거로 하여 ‘타자’에 대한 이해를 하였다. 그러나 대항해 시대의 시작은 서구인들에게 자신이 속한 내집단 문화와 전혀 다른 다수 사람들을 만나게 하였다. 그 결과 서구인들은 ‘타자’를 내집단 문화를 준거로 하여 인식하던 전통사회 인식방식을 더 이상 유지할 수 없게 되었다. 또한 사람들은 인종간․국가간 문제해결 과정에 내집단 문화를 준거로 한 이해방식이 갈등만 키운다는 사실을 알게 되었다.
본 논문에서 필자는 먼저 타자 인식방법의 변화의 원인을 전통사회에서 대항해 시대로의 변화에 따른 인간의 주관적 공간 확대의 결과에서 찾고자 하였다. 다음으로 미국 사회과에 나타난 타자 인식변화 4단계 모형 변화를 20세기 미국 사회사 변화와 관련하여 분석하고, 이 4단계 모형 변화를 원용하여 우리나라 사회과 교육(국제이해․다문화․세계시민)에 적합한 타자 이해방식의 수준을 밝히고자 하였다.

목차

<< 내용요약 >>
 Ⅰ. 머리말
 Ⅱ. 다문화 교육의 전제로서 타자에 대한 인식 변화 과정
  1. 전통사회 내집단 중심의 타자 이해
  2. ‘타자’의 발견 시대
  3. ‘타자’ 발견의 두 흐름
 Ⅲ. 미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다문화’ 개념의 변화
  1. 사회과 시민성 변화 원인으로서 역사․사회적 요인
  2. 시민성 변화에 따른 타자이해 방식의 변화
 Ⅳ. 21세기 한국 사회과 교육과정에 요청되는 ‘타자’ 교육
  1. 한국 사회변동과 ‘타자’ 이해의 준거
  2. 사회과 교육과정에 나타난 ‘타자’에 대한 준거와 그 한계
  3. 현시점에 적합한 ‘타자’이해 수준 논의
 Ⅴ. 맺음말
 <참고문헌>
 

저자정보

  • 이종일 Jong-Il, Lee. 대구교육대학교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 원문제공기관과의 협약기간이 종료되어 열람이 제한될 수 있습니다.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