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article

논문검색

이태준 소설 속의 고향과 고향사람들

원문정보

Hometown and its people in Taejoon Lee's works

유인순

피인용수 : 0(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초록

영어

This article is focused on hometown and its people in works of Taejoon Lee, born in Chulwon. And it analyzes their influence on Taejoon Lee and what he wanted to deliver through them. The article also reviews the relationship between literature and geographic areas by mapping place(setting) of his works.
To Taejoon Lee, the hometown had been a paradise of the golden age, a root of the spirit of nationalism and a womb for creation and reflection of literature.
However, as Japan strengthened its colonization over Korea, it became a lost paradise pictured as an area of coexistence of tradition and modern world.
Taejoon Lee pictures noble-minded patriots, recluses, wise men and conservative scholars as elite in hometown. In his works, grass-roots were day-dreamers, shrewd people and stupid people, victims of irony, pretending to be smart. They are incompetent but, as a group, demonstrate strong-will and cooperation facing difficulties.
The hometown and its people inspired Taejoon Lee with anchoretism of an artist, and with strong will and the ideal of a leading sprit.
Taejoon Lee prosecutes the barbarities of Japanese Imperialism picturing his hometown. At the same time he consulates readers and gives indirect suggestion of how to live through hardy life of its people.
Finally, this article geographically maps moving paths of characters in Taejoon Lee's works of his hometown. However, the most of areas are over the Cocilian Contro Line, in DMZ or North Korea so are not accessible. I hope that we will visit those places with his literary map in one hand someday.

한국어

철원출신 작가 이태준의 작품에 나타난 고향과 고향사람들을 주목했다. 그리고 고향과 고향이 작가에게 끼친 영향과 작가가 이들 고향과 고향사람을 통해서 무엇을 말하고 싶어 했는지를 보았다. 나아가 작품의 공간배경을 지도상에 표기해 문학과 지역과의 관계를 보려고 했다.
이태준의 고향에 대한 인식은 황금시대의 낙원이었고 민족주의 정신의 산실이었으며 문학 창작과 그 반성의 산실이었다. 그러나 일제의 식민정책이 강화되면서 낙원이었던 고향은 실낙원(失樂園)으로 바뀌고, 전통과 근대가 공존하는 지대로 그려지고 있었다.
이태준이 작품에 그린 고향사람들은 지식인으로서는 지사(志士), 처사(處士), 현자(賢者), 보수적인 선비들이 있었다. 민초(民草)들이 경우에는 사랑의 몽상가, 영악스러운 생활인, 똑똑한 척 하지만 실은 바보인 아이러니의 희생자들이었다. 집단으로서의 고향사람들은 때로는 무력하지만 그래도 난관 앞에서는 함께 협조하고 이를 헤쳐 나가려는 꿋꿋한 모습을 보이고 있었다.
이태준에게 고향과 고향사람들은 예술가적 입장에서는 처사적 기질을, 생활인의 입장에서는 강인한 기질과 선각자적 이상을 넣어주었다.
이태준은 고향과 고향사람들을 그리면서, 일제 정책의 만행을 고발한다. 동시에 고향사람들이 이에 꿋꿋하게 대처하는 모습을 그림으로써 당시의 독자들을 위로하고, 또 어떻게 살아야 할 것인가를 우회적으로 보여주고 있었다.

목차

내용요약
 I. 여는 글
 II. 이태준과 고향ㆍ고향사람들
  A. 이태준의 고향 철원
  B. 작품 소재로서의 고향 철원과 인근지역
  C. 철원지역의 역사와 문화
 III. 이태준 소설 속의 고향ㆍ고향사람들 
  A. 소설 속의 고향
  B. 소설 속의 고향 사람들
 IV. 고향ㆍ고향사람들과 이태준
  A. 고향과 이태준
  B. 고향사람들과 이태준
  C. 작품 속 고향과 고향사람들의 의미
 V. 이태준과 철원지역의 문학지리
 VI. 나가는 글
 참고문헌
 Abstract

저자정보

  • 유인순 Yoo, In-soon. 강원대학교 사범대학 국어교육과 교수

참고문헌

자료제공 : 네이버학술정보

    함께 이용한 논문

      0개의 논문이 장바구니에 담겼습니다.